대전에 바이오 계열의 블루칩으로 손꼽히는 대기업과 CT(Culture Technology) 관련 다국적기업 유치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보도다. 특히 '블루칩 대기업'의 경우 대덕테크노밸리 내 4만평 부지를 요구하고, 본사뿐만 아니라 전국에 분산된 공장이전을 검토하는 등 상당히 '구체적인' 단계까지 논의가 진행됐다고 한다. 외지 대기업의 유치실적의 부진으로 인해 '혁신클러스터' 조성의 첫 단추부터 난관에 봉착했던 대덕연구개발특구에 한줄기 서광이 비쳤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대기업 유치의 당위성은 대덕특구가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성장하기 위한 주요한 토대란 점에서 찾아야 한다. 30여년간 특구 일원에 축적된 각종 연구개발(R&D)성과가 사업화란 결실로 맺어지기 위해선 '벤처 생태계' 조성이 선행돼야 하며, 대기업은 중소·벤처기업의 집적을 촉발시키는 구심체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물망에 오른 대기업이 대전 이전 결심을 작정할 수 있도록 대전시는 물론 대덕특구 산·학·연·관 각 주체가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한다.

차제에 대덕특구란 차별화된 메리트를 갖고도 대기업 유치가 부진한 현 상황에 대한 검토와 함께 개선 노력을 가일층 배가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성 저하에서 기인하는 몫이 크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최근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이 잇따르고 있는데다 여야 합의로 다시 마련한 '행정도시'마저도 헌재의 결정만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의 균형발전 시책마저 수도권 논리에 휘말려 비틀거리고 있는 지경에 특구법과 육성 종합계획 발표만을 믿고 선뜻 투자에 나설 대기업이 얼마나 될 것인가.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 제고가 급선무다.

대전시도 이런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세제 감면과 부지 매입비 보조 등 이전 기업에 대한 혜택 제공을 비롯해 대덕특구 내 220만평의 산업단지 조성, 도심과 특구를 연결하는 도시고속화도로 건설 등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음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각종 사업이 산발적으로 발표만 될 뿐 정작 실행은 지지부진하면서 기업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게 문제다. 사업 전반을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 하에서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것과 더불어 지역 산·학·연·민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게 중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