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가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도약하려는 의지를 재확인하기 위한 '대덕특구주간' 행사가 오늘부터 5일간 진행된다. 25일엔 대덕특구의 역할과 비전을 함축적으로 담은 브랜드 이미지(BI) 선포식도 개최돼 주목된다. 지난 7월 28일 대덕연구개발특구법 발효에 이어 9월 1일 특구지원본부 이사장도 선출됐으나 특구지정 성과가 당초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행사를 도약의 계기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물의 사업화를 통해 국가성장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데 있음은 물론이다. 2010년경 대덕연구개발특구 일원은 첨단기업 2500개, 스타기업 15개 육성을 통해 첨단기업 매출액 7조원, 고용인원 5만명 등에 이르는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변모하게 된다. 이러한 무궁한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특구 육성의 취지마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게 작금의 상황이다. 대덕특구 연구원과 벤처기업 종사자 중 48.6%가 '특구법'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이를 방증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특구주간 행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란 브랜드의 가치를 대내외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다. 산·학·연 만남의 장을 통해 상호 교류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방안 모색에 나선 것도 그런 연유에서 일 것이다.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은 각 주체의 자발적인 참여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구 내 중소·벤처기업 중 80% 이상이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다고 자부하면서도 정보부재나 사업규모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만큼 차제에 맞춤형 지원 등 '소프트웨어' 측면에 대한 대안도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

무엇보다 이번 행사에서 대전시민과 상생협력을 도모하기로 한 점은 고무적이다. 대덕연구개발특구는 대전시민의 이해와 지지 속에 추진될 때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청회 무산으로 특구 육성종합계획이 표류하는 것만 봐도 그렇다. 이제 대덕연구개발특구가 과거 30여년간의 폐쇄성을 탈피, 대전시민과 교감을 나누며 상생협력을 모색했으면 한다. 대덕특구가 한국 과학의 대표 브랜드로 우뚝 설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