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출연硏 등 소화기 적고 소방방재시설 허술

첨단을 주창하는 대덕밸리가 화재 등의 재난에는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지적됐다.

정부출연기관 상당수에선 피난구유도등 등 기본적인 방재시설조차 갖추지 않아 화재발생 시 연구과제를 한순간에 손실할 수 있는 위험부담까지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행자위의 대전시 국감에서 무소속 정진석 의원(공주·연기)은 "지난 94년 개정 소방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덕연구단지 지하공동구의 소방방재시설을 조성 당시와 변함없이 방치하는 것은 심히 유감이다"고 비판했다.

지하공동구는 배전선로를 비롯해 유선방송케이블, 초고속광통신망, 상수도관, 난방용 온수관 등이 들어선 국가기반시설로 인체에 비유하면 중추신경망과 다름없다.

대표적인 예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꼽혔다.

정 의원은 "KAIST 지하공동구(1.8km)에는 가정용소화기가 20개에 불과해 평균 95m마다 1개꼴로 배치, 20m당 1개씩 설치해야 한다는 법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질타했다.

정 의원은 또 "피난유도등이 아닌 피난유도표지판만 설치돼 있고 자동화재 탐지설비도 없어 화재발생시 지상에선 전혀 감지할 수 없다"고 추궁했다.

정부출연기관도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았다.

소방방재청이 정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력연구원 등엔 피난구유도등, 소화용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방화벽, 무선통신보조설비, 통합감시시설 등을 전혀 설치하지 않았다.

정 의원은 "특단의 소방방재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으면 그 손실을 추계할 수 없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와 함께 시가 열린우리당 홍미영 의원(비례대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전지역 대형화재 취약건물 227개 가운데 35%인 80개 건물의 소방설계도면이 미확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설계도면은 건물내부 소방시설의 소방비상구 등이 어떻게 설계돼 있는지 상세히 기록한 문서다.

홍 의원은 "소방당국에서 따로 분류해 관리 감독하고 있는 대형화재 취약건물들의 소방설계도면 역시 3년 후 곧바로 폐기해 버렸다"며 "이는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으로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