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필로폰을 판매·알선한 일당 23명이 충북지방경찰청에 의해 검거된 데 이어 대전지검도 엊그제 신종마약을 국내에 들여온 밀매단 3명을 구속했다. 이번 사례는 강력한 환각효과를 나타내는 동물 마취제의 일종인데다 대량이라는 점에서 우리 사회에 마약이 양적으로나 종류 면에서도 급격히 확산되고 있음을 우려치 않을 수 없다. 신종 마약류는 짧은 기간 내 일반인 사이에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마약의 밀반입과 국내 유통 차단을 위한 노력을 가일층 배가해야 할 시점이다.

마약이 사회문제로 대두한지 이미 오래다. 그 대상이 과거 주한 외국인과 유학생 등 극히 일부계층에서 이젠 사회 지도층과 연예계, 심지어는 평범한 직장인과 청소년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에 따라 국제 우편물도 마약 운반루트로 활용되고 있다. '마약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사법당국의 의지를 무색케 할 정도다. 지난해 검찰에 검거된 마약사범이 7747명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언제까지 '마약왕국'이란 오명을 들을 것인가.

마약이 갖고 있는 해악(害惡)에 대해서는 부연 설명이 필요 없다. 마약이 갖는 중독성으로 인해 이를 흡인한 개인에게 신체·정신적으로 회복하기 어려운 후유증을 남기는 것은 물론 폭력·절도·성범죄 등 2차 범죄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그렇지 않아도 피폐 일로에 있는 우리 사회의 건강성에 치명적인 위해를 가하고 있는 셈이다. 마약 유통으로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미국, 중남미, 동남아의 경우를 보더라도 더 큰 사회문제가 되기 전에 강력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마약사범에 대한 단속과 처벌 수준을 종전보다 대폭 강화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일벌백계를 통해 한번 적발된 사범들이 몇 년 뒤에 다시 마약조직을 재건하는 등의 악순환이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국제화, 지능화되는 마약조직에 대비하기 위한 통관검색과 국제공조 수사체제도 한층 보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마약 중독자가 다시 환각의 세계에 발을 들이지 않도록 치료·관리시스템도 보완해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