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업의 가장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농업인력의 수요 예측과 이에 따른 체계적인 농업인력 육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장래에 요구되는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조기 교육을 통해 양질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야 말로 우리 농업이 나가야 할 방향이다. 이런 면에서 올해 충남도가 처음 도입하는 '농업 인턴제'와 '창업농 후견인제'는 우수 농업인력 양성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모아 지고 있다.

농업 인턴제는 미취업 청소년을 대상으로 영농분야 실무연수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인턴들에게는 영농실무 연수를 받는 동안 매달 50만원 이상의 임금도 지급된다. 차세대 활력층이라고 할 수 있는 잠재 농업인력에게 영농 정착의 동기를 부여하고, 신규인력을 흡인하는 좋은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인턴들과 함께 현장에서 농사를 지으며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밀착 지원하는 창업농 후견인 제도를 어떻게 운영하느냐가 관건이다. 대학교수나 농업관련 퇴직 공무원, 신지식 농업인 등 전문인력 풀이 바로 그들이다. 우수 농업인력을 양성하기위한 유인책이 별반 없는 상황에서 인턴과 후견인제를 잘만 연계한다면 젊은 피 수혈의 새 모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할 만하다. 인턴의 연령을 18∼32세로 제한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농촌인구는 갈수록 줄어 경노당화 되고 있는 게 작금의 상황이다. 농가 인구 중 60세 이상이 60%를 차지하고, 40세 미만은 3%에 그친다는 통계가 이를 입증해 주고 있다. 그런가하면 농업경영인들의 이탈도 심상찮다. 충남도내 후계농업경영인은 지난 95년까지만 해도 400~500명선을 유지했으나 올해는 118명이 고작이라고 한다. 중도 포기하는 농업경영인이 그만큼 많다는 방증이다.

농촌의 미래는 농업인력 육성에 달렸다. 하지만 예산이나 젊은 인력을 마냥 투입한다고 해서 단순히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양성한 인력과 기술을 사후 관리해주는 효율적인 시스템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지식기반 농업이 가지는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는 농업경영 전반에 관한 식견도 요청된다. 새로 도입된 제도가 조기에 정착돼 농촌문제 개선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진력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