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청년들이 사회로의 첫걸음부터 사회적 단절로 인한 시련을 견디기란 무척 힘들 것이다. 이는 우리의 미래가 불투명해지고 국가경제의 허브가 흔들림을 의미한다.

지난해 6.7%였던 청년실업률이 8.6%로 급증했고, 전국 대학생의 거의 절반인 56만 9000명이 휴학 중에 있다고 한다. 학기가 끝나면 이 숫자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얼마나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하면 대학생들이 좀 더 편안한 마음에서 취업 준비를 하기 위해 졸업을 늦추거나 휴학을 하겠는가. 대전지역 소재 4년제 대학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백수로 전락하느니 차라리 학생 신분이라도 유지하는 게 낫다는 풍조가 만연하고 있을 정도다.

모 대학신문의 설문조사 결과 설문 대상 대학생의 51.4%가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지난 4월 한강에서 자살한 한 휴학생의 유서 내용에도 취업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었다. 서울대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울증 검진을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도 이러한 세태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청년실업이 악순환의 반복 구조를 양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생활이 자기 계발의 계기보다는 취업 조건 갖추기로 전락하거나 젊은이들이 취업 준비를 위해 고시촌으로 몰려드는 현실이 바로 그렇다. 대학도서관이 독서실로 변질됐고, 순수 인문학이나 순수과학은 갈수록 외면당하고 있다. 정상적인 대학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것은 한국의 장래를 위해서도 불행한 일이다.

지금은 구호보다는 구체적인 청년실업 대책이 필요한 때다. 정부기관과 유관기관은 물론이고 각급 단체가 업무 특성에 맞는 범위 안에서 일자리 창출 목표를 설정하여 청년취업을 선도해 나가야 한다. 산·관·학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일자리 창출에 동참해야 한다. 정치권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이 땅의 젊은이들이 희망을 버리지 않고 열정을 불태울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우리의 미래가 밝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