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문화유형이 장르간 경계를 허무는 이른바 퓨전을 지향하고 영상 위주의 가시적 감각 취향으로 바뀌면서 전통 예술과 무형 문화자산에 대한 관심이 날로 소홀해지고 있다. 사회 분위기가 속도화를 지향하면서 민족문화 원형질을 이루는 전통문화기능 전수교육은 뒷전으로 밀려나기 십상이다. 10곳의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조성돼 있는 충남의 경우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운영과 예산지원의 영세함은 개선의 여지가 많다. 전국 76개 전수교육관 중 충북은 3곳, 대전의 경우 1곳에 불과하여 이 분야에 대한 관심 부족이 두드러진다. 대전 중구를 제외한 4개구는 건립의지가 유보적이어서 도시화 그늘에 가린 전통 문예 진흥의 그림자는 짙어간다.

무형문화재는 경제 논리로 보면 수익 창출을 별반 기대할 수 없을뿐더러 전수를 희망하는 후계자 확보도 어려운 형편이어서 관계 당국과 관련 문화계의 특단의 지원과 관심이 없을 경우 머지않아 소멸될 우려가 높다. 전수교육을 위해선 공간, 시설 확보와 전수자 예우, 그리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관건이다. 대전의 경우 대지 확보부터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데 무형문화재 분야별로 특성화된 구조와 규모가 필요한 만큼 반드시 넓은 부지에 단독 건물과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것도 아니다. 가령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이나 연구소 등의 공간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메세나 차원의? 기업 협조도 마다할 일이 아니다. 외곽의 폐교 건물을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고유한 전문 지식과 기능 전수도 중요하지만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체험, 그리고 세계화를 염두에 둔 문화상품화 방안 강구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무형문화재 전수교육·보급은 지역 전통과 문화 수준을 강화하고 인근 명소, 유형문화재와 연계하여 관광코스로 개발하는 한편 주민 정서 통합과 자긍심 제고라는 여러 이점이 있다. 무형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이 필요한 때다. 기존 전수교육관도 유명무실할 경우 과감하게 통폐합하여 실질적인 효과 창출에 주력하기 바란다. 무형문화재 보호육성은 앞을 내다보는 문화행정을 가시화시킬 좋은 소재임에 더욱 그러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