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에서 창출된 소득의 상당 부분이 지역에 재투자되지 않고 타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성장과실이 지역에 그대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른바 소득의 역외유출 현상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지역경제성장 선순환의 걸림돌로 지목된 지 오래다. 충남 경제가 지역생산 측면에선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부품 등 제조업 중심으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여 왔지만, 생산 대비 소득 수준이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낮다.

충남 소득의 역외 유출을 막을 대안은 없는가. 어제 열린 충남의 대응토론회 주제다. 해묵은 과제다. 2016년 기준 충남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17조 1000억 원으로 전국 3위다. 반면 이 가운데 지역에 분배된 지역총소득(GRNI) 규모는 89조 9000억 원에 그쳤다. 말하자면 소득 역외유출은 27조 2000억 원(23.2%)에 달한다. 생산 대비 4분의 1 정도가 지역에 재투자되지 않고 타 지역으로 흘러들어간 셈이다. 충남에서 돈을 벌어 수도권을 살찌우는 구조다.

그 원인은 기업 회계 및 조직 문제와 정주 여건상 문제로 대별할 수 있다. 가장 큰 요인으로는 본사는 수도권에 두고 '분공장' 형태로 지역에서 운영하는 구조다. 기업 영업이익을 본사로 귀속시키는 형태다. 또 하나는 지역의 취약한 정주여건(교육·문화·의료 등)을 이유로 많은 근로자들이 주거지를 타 지역에 두고 있는 경우다. 분공장 형태의 기업의 본사를 지역에 유치하고 근로자들의 지역 내 거주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절실하다. 근로자들이 지역에서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정주여건을 갖추는 것은 필수다.

충남이 2014년 전국 처음으로 지역 내에 '일터-삶터-쉼터'를 모두 갖춘 개념으로 정주환경을 구축하는 '상생산업단지' 모델을 도입한 바 있다. 생산과 소비가 이어지는 이상적인 형태임에도 하루아침에 생산-소비의 괴리현상이 개선될 리가 만무하다. 지역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실효성 있는 장단기별 대응책이 절실하다. 고착화된 수도권 중심주의를 탈피하기 위한 근본 문제와 더불어 각종 인센티브 도입 등 디테일에도 주목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