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노인성 질환’ 제한적 인식

문재인 정부가 치매 문제를 국가 돌봄 차원으로 해결하는 ‘치매 국가 책임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히며 대전시도 치매 담당 부서를 대폭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60세 미만 젊은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아직도 치매를 ‘노인보육’으로 분류하고 있어 근시안적 행정이라는 지적이다.

새 정부의 치매 국가 책임제 공약 이행으로 치매가 정부와 지자체 차원 관리 대상 질병이 되는만큼 그에 따른 부서 조직 개편 및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치매안심센터 설치로 보건소 역할이 확대되고 전문 요양사 처우 개선 및 파견 제도,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 적용 등 치매 환자를 위한 행정 지원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또 치매가 그동안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되며 ‘고령사회의 그늘’로 알려졌지만 최근 알츠하이머, 알콜성 치매, 뇌염에 의한 치매 등 조발성치매(65세 이전 발병)가 급격히 증가하며 전 연령 대상의 치매지원·관리 전담 부서도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시는 현재 치매를 고령화로 인한 노인성 질환으로 분류해 노인건강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전담 인력도 단 한 명 뿐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노인성 치매 연령보다 빠르게 일어나는 초로기치매(45~60세)는 현황 파악조차 돼 있지 않았다.

반면 대전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광역시는 치매를 노인성 질환에서 접근하지 않고 모든 연령에서 발병할 수 있다고 판단, 건강정책 부서 등으로 분류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시는 노령화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을 당시 부서 신설에 있어 치매를 정신질환이 아닌 노인질환으로 판단해 분류했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전 연령대에서 치매환자가 유입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치매를 정신질환으로 볼 것인지, 노인질환으로 볼 것인지 보건부서와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또 대전지역 전 연령별 치매환자 수치를 조사한 이후, 전담 부서 신설을 검토할 것”이라며 “더불어 이달 내 보건복지부로부터 구체적인 지침이 내려오면 이에 맞게 조직체계와 인력 등 인프라를 정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