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가 확정한 '2020 대전권 광역도시계획'의 가장 큰 특징은 대전의 주개발 축이 기존 경부선 축에서 호남선 축으로 전환됐다는 점이다. 대전권 광역도시계획은 대전시 도시계획의 기본 틀이자 향후 대전시의 공간구조를 가름케 하는 바로미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전시가 주개발 축을 바꿔가면서 도시계획의 틀을 다시 짠 것은 상대적으로 낙후된 호남선 축을 중점 개발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전권 광역도시계획은 대전시 전역과 충남 4개 시·군, 충북 2개 군 4개 면을 어우르는 말 그대로 광역도시계획이다. 대전과 충남·북의 뿌리가 하나이듯 3개 시·도의 공간 구조가 유기적으로 결합할 때 중부권 거점도시로서의 위상이 한층 부각될 것이다. 그러려면 청주-대전-논산을 잇는 호남선 축과 공주-대전-영동을 연결하는 경부선 축이 어느 한 곳 치우침 없이 개발돼야 함은 물론이다.

관심의 대상인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관리 방안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그린벨트 조정가능지역을 설정함으로써 투기를 방지하면서 난개발을 막으려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조정가능지역에 포함됐다고 해서 당장 개발이 이뤄지는 건 아니다. 하지만 개발의 수요가 있으면 공영개발을 전제로 언제든지 해제할 수 있다는 물꼬를 터놓은 건 잘한 결정이라고 본다.

그린벨트 내 유치업종을 크게 제약한 것 또한 같은 맥락이다. 취락정비, 공공주택건설, 저공해 첨단산업, 컨벤션센터 등으로 대상사업을 명확히 구분한 만큼 이를 철저히 지켜나간다면 당초 의도대로 환경훼손은 막고 공공의 이익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광역도시계획이 완료되는 2020년경이면 대전권은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갖춘 인구 270만의 중부권 거점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물론 엄청난 사업비 등 난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충청권 신행정수도 건설을 감안하지 않은 것도 흠으로 지적되고 있다. 원칙은 고수하되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보완하는 쪽으로 실행에 옮겨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