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금융소비자들의 금융권에 대한 반발기류가 거세지고 있다. 신임 금감원장의 외유성 출장을 비롯해 연이은 은행들의 채용비리와 삼성증권의 유령주식 배당사태까지 연이어 ‘대형사고’를 친 금융권에 지역민들의 비난여론이 들끓는 것이다.

15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금융 신뢰도지수’에 따르면 200점 만점에 86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권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35%에 달한 수치로 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크게 손상된 상태다. 방점을 찍은 것은 최근 삼성증권의 112조 유령증권 배당사태다.

대전지역 직장인 정모(33)씨는 “주식이 가상화폐와 다를게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며 “법으로 금지된 무차입 공매도 거래가 여과없이 이뤄진다는 반증인데 이제 누가 믿고 주식하겠나”라고 말했다.

과거부터 논란이 됐던 공매도가 재점화되면서 비난여론이 터져나온 것이다. 이번 사건은 담당 직원이 주식 배당을 잘못 입력하고 이를 최종 결재자가 확인하지 않은 채 승인한 것이 발단이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사태를 삼성증권 내부 관리시스템 미비에 일부 직원의 도덕적 해이까지 겹친 총체적 인재로 보고있다.

이에대해 지역 증권업계 관계자 김모(40)씨는 “삼성증권 배당 오류 사고는 주식시장에 대한 신뢰에 큰 흠집을 남긴 것”이라며 “더군다나 착오로 배당된 주식을 내다팔아 주가 폭락의 원인을 만든 회사 직원들은 애널리스트로 알려져 금융회사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 업종으로 금융당국과 금융회사 본연의 역할이 구분돼 있다. 금융회사는 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 통제 강화로 신뢰성을 높이고 금융당국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금융사고 재발 방지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당국 등 증권 유관기관들이 삼성증권에만 책임을 떠넘긴 듯한 모습으로 신뢰성 회복의 행보와는 거리가 멀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지역소재 대학 금융보험학과의 한 교수는 “금감원 등 유관기관은 앞다퉈 보도자료를 내면서 삼성증권에 관련자 문책, 투자자 피해보상 등을 요구했지만 정작 부실감독에 대한 자기반성은 없는 듯 하다”며 "갖가지 문제로 시끄러운 금융당국이 삼성증권에만 책임만 묻는다면 제2의 유령주식 사태가 불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윤희섭 기자 aesup@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