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 충청권 한 목소리로 대처할 때다

[사설]

2015-10-13     충청투데이
끝내 내년 4·13 총선 선거구 획정안의 국회 제출 법정시한인 13일을 넘기고야 말았다. 여야의 정치적 대립에다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의 태생적인 무능 및 한계까지 겹친 탓이다. 여야가 막판에 졸속 처리했던 역대 '깜깜이 선거'를 연상케 한다. 그러잖아도 충청권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 불이익을 입을 것이라는 시뮬레이션이 나와 특히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여야 정치적 텃밭인 영호남 지키기의 뿌리는 참으로 깊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비율을 아직껏 내놓지 못했고, 농어촌 지역 대표성까지 맞물려 복잡한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대로 선거구 인구편차를 종전 3대1에서 2대1로 조정할 경우, 농어촌 지역의 선거구 통폐합 숫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의원정수를 현행 300명으로 동결하되 지역구 246명 안이 유력시되면서 9석 감소(영남 -3, 호남 -5, 강원 -1)가 나온 배경이다. 그 충격을 다른 데로 떠넘기려다 보니 충청권이 엉뚱하게도 피해를 보는 시나리오가 나돌고 있다.

충청권으로선 당초 2석가량 늘어날 것으로 여겨졌기에 파장이 크다. 대전 유성구가 증설지역으로 꼽히지만 장담하기엔 이르다. 충남 천안과 아산도 증설지역이긴 하나 마찬가지다. 충남 전체적으로 현행 10석 동결 안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서다. 충북 또한 비상이다. 청주시 선거구를 현행 4개에서 3개로 줄이고 보은·옥천·영동 선거구를 통폐합하는 방안 때문이다. 청주-청원이 자율 통합되지 않았으면 이런 일이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 불이익을 준다는 건 누가 봐도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충청권이 정치적 소외감을 지속적으로 토로하는 것도 결코 무리는 아니다. 타 지역에 비해 터무니 없이 홀대를 받아왔다는 피해의식이 깊어가고 있다. 헌법소원을 냈던 충청권으로선 할 말이 참 많다. 충청권 스스로 중구난방 식으로 대처할 일이 아니다.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변수가 한 둘 아니기에 그러하다.

언필칭 '영충호 시대'라고 한다. 인구 규모가 늘었다면 거기에 걸맞은 정치 역량을 갖춰야 명분과 실리를 살릴 수 있다. 당파 불문하고 대전·세종·충남·북 민관정이 결집하여 한목소리를 내야 할 때 아닌가. 이미 끝난 뒤에 하소연해봐야 패자의 넋두리가 될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