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관문 청주공항, 대통령실·국회 이전 발맞춰 확충해야
세종과 청주공항 지리적으로 가까워 누락된 예타용역비 국토교통위 통과 민간활주로 사업 본격화하기엔 무리 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포함돼야
2025-11-24 김동진 기자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정부가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 이전의 차질없는 추진을 천명한 가운데, 관문공항 역할을 수행할 청주국제공항 민간활주로 신설 등 활성화정책도 이와 발맞춰 추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사업비 965억원과 세종 대통령집무실 건립사업비 240억원을 편성했다.
내년 정부 예산안까지 모두 포함하면 현재까지 확보된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예산은 2153억원,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립 예산은 298억원이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지난 8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세종 대통령 집무실을 오는 2030년 5월 완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회 세종의사당은 국제설계공모를 거쳐 내년 당선작을 선정한 뒤 실시설계 등 본격 사업에 착수, 2033년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국회와 대통령실 세종 이전 계획이 속도를 내면서 관문공항 역할을 수행할 청주국제공항의 시설 확충사업도 이와 궤도를 같이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런 점에서 충북도와 청주시 등이 요구했으나 내년 정부예산안에 누락됐던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신설 예비타당성조사 용역비 5억원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여기에 국회 여야가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신설 예타조사 용역비 5억원 반영을 약속한 만큼 내년 정부예산안에 반영되는 것엔 별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예타조사 용역비 반영만으로 청주공항 확충사업의 본격화를 기대하긴 어렵다.
문제는 올 연말까지 고시 예정인 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청주공항 시설 확충 등이 포함되느냐다. 충북도는 민간활주로 건설사업을 비롯해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주차빌딩 신축·주기장 확충 등 공항시설 확충사업, 공항의 행정적 위계 조정을 위한 권역 변경 등 3대 중점사업의 7차 공항개발종합계획 반영을 요구한 상태다.
7차 공항개발종합계획 추진 기간이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 이전사업과 비슷한 2026~2030년까지인 만큼, 청주공항 확충사업 반영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청주공항이 중부권 거점공항은 물론 행정수도 관문공항으로서 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대통령실과 국회 이전 사업과 맞춰 청주공항 확충 사업이 병행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국내 정치·행정은 물론 국제 외교 등 국회와 대통령실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항공 편의성과 경호·보안 문제 등을 감안할 때 지리적으로 가까운 공항을 이용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주공항 시설 확충 타당성과 시급성에 대한 정부와 국회 차원의 인식 전환을 통해 7차공항개발종합계획에 청주공항 활성화 방안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가 요구된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