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 사라진 충청권…‘출산 난민’ 되는 산모들

분만실 갖춘 산부인과 감소세 충청 13개 시·군 분만실 ‘0’곳 인프라 붕괴, 의료 공백 심화 우려

2025-11-21     최광현 기자
출생아.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광현 기자] 충청권 분만실이 줄어들면서 임산부들이 의료 소외 위기에 놓였다.

지역 전반에 걸쳐 출산 가능한 병원이 급격히 줄면서 지역 내 의료 공백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보건의료빅데이터의 분만 현황 분석 결과 충청권은 지역별로 엇갈린 양상이 나타났다.

2020년 1만243건이었던 대전의 분만 건수는 지난해 8407건으로 1836건(17.9%) 줄었다.

같은 기간 충북은 7481건에서 6351건으로 1130건(15.1%), 충남은 9945건에서 8417건으로 1528건(15.4%) 각각 감소했다.

반면 세종은 신도시 영향으로 신혼부부 유입이 늘면서 2020년 1910건에서 지난해 2864건으로 954건(49.9%) 증가했다.

여기에 분만 건수 감소와 함께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도 급격히 줄고 있다.

2021년 대비 올해 11월 기준 대전은 28개에서 19개로 9곳(32.1%), 충남은 35개에서 24개로 11곳(31.4%) 감소했다.

충북도 30개에서 24개로 6곳(20%) 줄은 반면 세종은 6개에서 7개로 1곳 늘었다.

문제는 최근 분만 건수가 증가세로 돌아서는 만큼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 불균형 문제는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별로 분만 건수를 살펴보면 전년 대비 지난해 대전 135건, 충북 6건, 충남 310건 등 소폭 반등했다.

이처럼 정부가 출산정책에 사활을 건 만큼 의료 수요는 늘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공급은 오히려 줄면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충남, 충북에서는 일부 도시권에만 산부인과 인프라가 집중돼 농어촌 지역의 의료 리스크는 현재 진행 중이다.

시군구 단위로 살펴보면 계룡시를 비롯해 금산·부여·서천·예산·청양·태안·괴산·단양·보은옥천·음성·증평군 등 총 13개 시·군에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지역 임산부들은 출산 직전 인근 도시까지 장거리 이송을 감수해야 하며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이처럼 충청권의 출산 인프라 붕괴는 저출산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분만 취약 지원 확대와 지역 산부인과 유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분만 취약지가 확대되면서 임산부와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의료 공백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