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주산업 성장엔진 대전 시너지효과 거양하려면

사설

2025-11-16     충청투데이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4일 국회에서 개최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는 대전의 우주항공산업 역량을 대내외에 알리는 더없는 기회였다. 이날 토론회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 의원을 비롯한 지역의원과 우주항공청, 우주항공 연구기관, 산업체 관계자 등 60여명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연구개발본부 설치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확산된 건 이날 토론회의 가장 큰 소득이라고 하겠다.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 의지를 다진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의 우주항공산업은 3축 체제로 구축됐다. 발사체는 전남 고흥, 위성은 경남 사천, 그리고 대전은 연구·인재개발을 담당하도록 구분 지었다. 이런 상황에서 우주관련 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은 치열할 수밖에 없다. 당장은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를 전제로 한 최적의 입지가 과연 어느 곳 인가다. 연구개발본부는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지난해 9월 황 의원이 우주항공청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해 현재 상임위원회 심사가 진행 중이다. 현장 연구자들이 연구개발본부의 필요성을 요청하고 있는 만큼 법안통과 가능성이 높다. 대전은 연구개발본부의 최적지라고 과연 주장할 수 있다. 집적된 연구기관과 우수한 연구인력을 보유한 까닭이다. 객관적 자료가 이를 뒷받침 해준다. ‘2024년 우주산업실태조사’를 보면 우주산업 참여기관(2023년 기준) 556곳 중 23.9%인 133곳이 충청권에 소재하고 있다. 항우연, 천문연, 전자통신연구원 같은 우주관련 주요 기관이 대전에 몰려있다. 이쯤 되면 연구개발본부의 입지는 정해졌다고 본다.

우선 과제는 연구개발본부 신설을 담은 우주항공청법 일부개정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다. 그러려면 이해와 공감대를 넓혀야 한다. 대전이 항공분야 전문인력, 첨단기술 중심의 산업 생태계를 공고히 할 때 명실공이 과학도시 입지를 굳힐 수 있다. 지난 50년간 대전 R&D특구에서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유관 기관을 유치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거양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