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말고 이제는 실전, 수험생 금융경제 교육 필요

사회초년생 금융교육 지원 필요성 높아 보이스 피싱 피해자 청년층 매년 증가 코스피 열풍타고 빚투 청년들도 늘어 금감원 교육 진행중이지만 한계있어

2025-11-14     이석준 기자
금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이석준 기자] 내년도 수능이 마무리된 가운데 곧 사회로 진출하게 될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수년간 20대 사회초년생의 금융 건전성이 악화된 데다가 관련 범죄에 대한 노출도 확대되면서 금융교육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4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20대 사회초년생들의 금융 범죄 노출과 빚을 내 투자를 하는 ‘빚투’ 현상 등 무리한 투자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보고서에선 대표적인 금융 범죄인 보이스 피싱의 경우 2020년 20대 피해자는 895명에 불과했지만 2023년에는 1851명, 2024년에는 1355명을 기록한 바 있다.

올 상반기에도 이미 869명의 피해자가 집계돼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피해자가 대거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에는 코스피 ‘불장’에 투자와 관련한 우려도 부각되고 있다.

빚투 현상이 짙어지면서 온라인, 모바일 등을 통해 손쉽게 받을 수 있는 소액 대출 등을 통해 무리하게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제대로된 금융지식 없이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사례가 상당수로, 청년층의 금융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기준 20대의 금융 이해력은 평균 62.6점으로, 최하점(59.3점)인 70대 다음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해 앞서 금융권 안팎에선 청소년과 수험생, 예비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한 금융교육 과정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기도 했다.

내년부터는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금융과 경제생활’ 선택 과목이 추가되고, 금감원은 2019년부터 수능 끝난 수험생을 위한 금융교육을 지속 중이다.

금감원을 통해 지난해는 2023년(527개교)보다 61.5% 증가한 851개 고등학교에서 교육이 이뤄졌지만 다소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국 고등학교 규모(2387개교)에 비해 일부 학교에선 교육이 이뤄져 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5월에는 금융위원회가 교내 금융교육을 지원할 수 있게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금융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다.

일각에선 금융교육을 선택적, 또는 일부 학교에만 지원하는 것이 아닌, 적극적인 지원 확대를 통해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연령별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환희 청년금융교육연구소 대표는 “청소년 금융 교육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함과 동시에 실용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주된 재테크 수단인 주식, 부동산, 은행에 대한 설명과 최근 쟁점이 되는 금융사기에 관한 내용을 실전형으로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석준 기자 lsj@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