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교통수단 될 수 있는 인프라 절실 [대전 자전거 인프라 점검]

[대전 자전거 인프라 확충 절실] 전문가들 "교통체계 재편 필요" 입모아

2025-11-12     권오선 기자
10일 대전 대덕구 차도 위에 조성된 자전거도로가 버스정류장을 만나자 다시 보도 위로 이어지고 있다. 사진=권오선 기자.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전문가들은 현재 대전의 자전거도로가 대부분 보행자 겸용 형태로 조성돼 있어 주행 중 안전사고 위험이 크고, 이동 효율도 떨어진다고 지적한다.

또 실질적인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심 교통체계를 전면 재편하고, 자전거 전용차로 등 전용 인프라를 새로 도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재영 대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차량인데 보행자와 같은 공간을 쓰도록 한 겸용도로는 구조적으로 주행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이런 구조는 보행자와의 상충이 잦아 안전성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전의 도심 도로는 평균 왕복 2~4차로 규모로 진출입로가 많고 교통량이 집중돼 자전거 주행 중단이 잦은 상황이다.

그는 "대전의 경우 자전거 이용자가 15초마다 한 번씩 교차로나 진입로를 마주칠 정도로 흐름이 끊긴다"며 "주행성이 떨어지면 이용자 입장에선 이동 수단으로 선택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자전거도로뿐만 아니라 주차장 등 인프라에 대한 중요도도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차로 분리뿐 아니라 주차장 등 종합 인프라가 함께 마련돼야 한다"며 "주차장이나 샤워시설 같은 생활 인프라가 확보돼야 이용 활성화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그는 "자전거는 차와 마찬가지로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주차가 보장돼야 한다"며 "시설이 불량하거나 고장난 상태로 방치되면 이용 의지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심재익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우리나라 자전거도로의 70%가 보행자 겸용도로로 보행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다"며 "자전거는 차도 쪽으로 붙여야 하며 물리적 차단 시설을 갖춘 전용차로 형태가 원칙적으로 맞다"고 설명했다.

심 연구위원은 "대전은 도로 폭이 충분해 예산을 크게 들이지 않고도 자전거 전용차로를 설치할 수 있다"며 "차로 폭을 일부 줄이는 ‘도로 다이어트’만으로도 1.0m가량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차로를 줄이면 차량 속도도 자연스럽게 낮아져 교통 안전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며 "도로 폭을 일부 줄이고 자전거 전용차로를 확보하면 보행자와 자전거 모두가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도시철도 2호선(트램)과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도시 교통은 자동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트램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과 자전거, 보행이 연계되는 체계로 전환해야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지속 가능한 교통체계로의 전환이 핵심"이라며 "자동차 중심의 교통정책은 한계에 다다랐고 자전거·보행·대중교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