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제 기능 못하는 민원상담소 실효성 높이자”

운영 편차·홍보 부진 등 문제 발생 운영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필요

2025-11-07     김영정 기자
충남도의회 운영위 의회 사무처 소관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충남도의회 제공
이용국 의원이 민원상담소 운영과 관련해 질의하고 있다. 충남도의회 제공

[충청투데이 김영정 기자] 충남도의회가 도민 민원을 직접 듣기 위해 설치한 지역 민원상담소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민원상담소는 각 지역 도의원과 상담관이 함께 도민의 고충·생활불편을 청취하고, 관련 부서와 연계해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2023년부터 도내 20개소가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 삼담소가 상담 실적이 저조하고, 상담결과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지며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7일 열린 충남도의회 운영위원회의 의회사무처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상담소 운영 편차, 상담관 관리, 홍보 미비 등 구조적 문제를 잇따라 제기했다.

박미옥 부위원장(국민의힘·비례)은 “상담 실적의 지역별 편차가 크고 운영체계가 일관되지 않다”며 “상담관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담 결과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고 도민이 신뢰할 수 있도록 운영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도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담 경로를 마련하고, 상담소 존재를 알리는 적극적인 홍보가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선태 의원(민주당·천안)은 “상담소가 실질적인 소통 공간으로 기능하려면 의원이 참여하는 정기적인 ‘민원 상담의 날’을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도민이 직접 찾아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행사가 정례화된다면 상담소의 활용도와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향후 의원 후원회 제도 도입에 따라 사무공간 구조가 바뀌는 만큼 효율적 운영 모델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국 의원(국민의힘·서산) 역시 “도민 인지도가 낮고 홍보가 충분하지 않다”며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상담소가 도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창구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구상 도의회사무처장은 “운영 실태를 전면 점검하고 외부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전화·온라인 상담 활성화, 상담관 교육 강화,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 실질적 대안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운영위원회는 이번 감사에서 “도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한 제도의 취지가 훼손돼선 안된다”며 상담소의 실질적 기능 강화와 체계적 지원을 도의회사무처에 촉구했다.

김영정 기자 yeongjeong089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