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시대' 대전 전력자립도 단 3%…전국 최하위 [대전 전력자립 해법]
[전력자립도 낮은 대전…해법은?] 분산에너지법 적용 돼 전기요금 상승 자립도 경북 228%인데 대전 2.96% 발전소 건설 오래걸려 친환경 병행을
[충청투데이 김중곤·조사무엘 기자] 탄소중립과 함께 에너지 자립에 대한 중요도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전의 전력자립도는 전국에서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이 기술과 친환경을 핵심 축으로 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해 재생에너지 확대 등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6일 한국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EPSIS)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의 판매전력량(사용량)은 1016만 9884메가와트시(㎿/h)로 나타났다.
전기 사용량은 업무용이 565만 1555㎿/h로 관내의 과반을 차지했고, 주거용이 231만 2804㎿/h, 산업용이 220만 5525㎿/h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전의 전기 사용은 EPSIS 자료의 가장 오래된 시점인 2003년(650만 2821㎿/h)과 비교해 21년 사이 56.4% 증가했다.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초기술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고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조성이라는 지역적 상황도 고려하면 향후 대전은 더욱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대전의 전력 공급 역량은 수요에 한참 못 미치는 실정이다.
한국전력공사의 연도별 한국전력통계를 보면 지난해 대전의 발전량은 30만 1260㎿/h에 그쳤다.
발전원별로 액화천연가스(LNG)가 11만 5819㎿/h(38.4%),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이 6만 813㎿/h(22.6%)의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대전의 전력자립도(한국전력통계 발전량 / EPSIS 판매전력량 * 100)는 2.96%로 계산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 수준인데, 한 단계 높은 광주(9.56%)가 대전의 3배, 1위인 경북(228.12%)은 대전보다 무려 77배 높다.
게다가 과거에는 모든 지역이 동일한 비용으로 전기를 사용했기에 낮은 전력자립도가 문제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6월 분산에너지법이 시행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전기판매사업자가 지역별 전기요금을 책정할 때 송전, 배전 비용 등을 고려해 차등을 둘 수 있다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전기의 97%를 타지에서 끌어오고 있던 대전 입장에서는 이제 훨씬 많은 대가를 치러야 하는 셈이다.
지난해 대전시가 LNG와 수소를 혼합 연소하는 방식의 발전소 500㎿급 4기를 건설해 2037년까지 전력자립도 100%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한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발전소 건설은 통상 10년이 소요되는 장기 사업이라 추진 과정에서 변수가 상존해 있다.
또 LNG와 수소 혼소 방식은 석탄 등 화석연료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것이지 완전한 무공해 발전은 아닌 만큼, 탄소중립을 위해선 다른 친환경 발전원도 병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장효식 충남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시 계획으로 해도 전력이 부족해 다른 발전원을 더 확보해야 한다”며 “공공시설, 학교 등에 태양광을 설치해야 하고 밤에는 전력이 부족하니 ESS(에너지 저장 장치)와 결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