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지원·청년 상인 육성 공간 만들어야 [전통시장 세대교체 시급]
진입 장벽 완화·자립기반 마련 필요
2025-11-06 윤경식 기자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전통시장의 고령화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청년 상인 육성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를 위해선 청년 상인의 유입을 막아서는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고, 자립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장기적인 지원과 인큐베이팅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업계 등에 따르면 청년들의 전통시장 유입에서 진입 장벽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창업 시 부담해야 할 권리금과 보증금 등이 꼽힌다.
대전 일부 시장에서는 입지에 따라 편차를 보이지만 3000만원 수준부터 시작하는 권리금과 1000만원 이상의 보증금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역 전통시장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A 씨는 "권리금과 임대 보증금 등을 합하면 수천만 원이 필요해 맨몸으로 도전하는 청년들이 감당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이를 위해 청년 소상공인을 위한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구체적으로는 ‘청년 유입 연계형 가점제’, ‘청년상인 보증금 특례보증제’ 등 제도 도입이 거론되는데, 앞서 장철민 의원이 개최한 정책 간담회에서도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전통시장 차원에서 정부 지원 사업을 신청할 때 청년 유입을 연계한 사업계획을 제시할 경우 가점을 제공하고, 청년 상인이 전통시장에 입접할 때 정부가 보증을 지원해 안착을 돕자는 취지다.
특히 이러한 지원이 안정적인 자립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구범림 대전상인연합회 회장은 "단기 지원으로는 청년들이 창업 후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최소 10년 이상을 보고 임대료, 공간 지원 등이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선 기존 고령 상인의 은퇴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생계보다는 여가나 시간 보내기 차원에서 점포를 유지하는 고령 상인들에게 새로운 사회적 활동 기회를 제공해 자발적인 은퇴를 유도하고, 그 빈자리를 청년 상인들이 채워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역 전통시장 관계자는 "시장을 보면 동료 상인들과 소통하고 시간을 보내기 위해 점포를 지키고 있는 고령 상인들이 많은데, 이로 인해 변화는 더딜 수밖에 없다"며 "이들의 자발적인 은퇴가 늘어난다면 청년들이 전통시장에 들어올 수 있는 공간적 여건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령 상인들이 취미활동을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등을 조성해 자연스럽게 시장을 떠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계 전문가들은 타 창업, 스타트업 등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는 인큐베이팅 공간의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시장 내에 청년 상인을 위한 인큐베이팅 공간을 조성해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 독립단계까지 육성한다는 주장이다.
박종훈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자체 등이 전통시장 내에서 청년 상인을 키워낼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 안정적인 자립을 지원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육성된 청년 상인들을 중심으로 시장의 특색을 살려 나간다면 새로운 경쟁력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