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과학기술을 활용한 치안 환경 개선" 선택이 아닌 필수

박은규 대전자치경찰위원회 정책과 기획팀장

2025-11-04     충청투데이

우리 대한민국은 보릿고개의 배고픈 시절을 이겨내고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이제는 세계가 부러워하는 IT강국이 됐다.

인간의 역할을 대신해 단순노동은 물론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지능형 로봇이 일상생활 속에 이미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AI기술이 보이스피싱이나 영상 조작을 통한 성범죄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범죄를 예방하고 단속하는 경찰에게는 이러한 신종 범죄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물론 고도화된 기술력을 활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으로 현장 경찰관의 업무 효율성 증진 및 국민 안전 확보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대전지치경찰위원회는 전국 최초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대전과학치안정책자문단을 구성해 신종 범죄 대처 및 과학기술을 활용한 치안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동안 대전과학정책치안자문단은 대전 지하철 IOT 스마트 안심화장실 구축 관련 불법 촬영 감지 및 응급상황 실시간 전송 기술 등 총 65건의 기술 자문을 하였다.


특히 지난 2023년 말 대덕구에 있는 청솔공원과 쌍청공원에 청소년의 음주, 흡연, 운집 행위로 인한 불안감 조성 시 AI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경고 방송 시스템을 구축해 시범운영 결과, 반경 250m이내 전체 112신고건수가 67건에서 42건으로 37% 감소 하고 그중 청소년 비행 관련 신고는 16건에서 5건으로 45% 감소했다.

대전자치경찰위원회는 현재 치안센터 대부분이 인력 부족을 이유로 문을 닫거나 야간, 휴일 상주 근무자가 없어 ‘치안공백’을 우려하는 여론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 치안인프라에 AI 시스템에 접목해 24시간 민원안내(FAQ), 비상벨·CCTV를 활용한 긴급상황대처, 기존 비명인식 및 행동인식 기술을 접목한‘공중화장실 비상벨 시스템’ 상용화를 위해 관련 예산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AI기술은 각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계속할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고도화된 AI기술을 어떻게 현장에 접목시키고 체험과 시행착오를 거쳐 각 지역에 산재한 치안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정책화시키느냐가 숙제로 남아 있다.

옛말에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다. 즉 AI는 도구이고 사람이 방향인 것이다. 자치경찰의 근본 취지는 지역주민의 의사를 반영한 치안 정책의 수립·시행이 핵심이다. 최첨단 과학 치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