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처한 충주 활옥동굴, 인근 상인들 “폐쇄되면 지역 경제 흔들”

연 40만 명 찾는 충주 대표 관광지, 행정 절차 논란 속 존폐 기로 시민사회 “정치 논쟁 아닌 상생 해법 모색해야” 市 다각도 검토

2025-10-29     김의상 기자
활옥동굴 폐쇄 논란과 관련해 시민·상인들이 ‘정당한 영업권 보장’을 요구하며 성명서 발표 전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사진=충주시

[충청투데이 김의상 기자] 충북 충주시 도심 관광명소인 활옥동굴이 연간 40만 명 이상의 외지 관광객을 끌어들이며 지역경제의 핵심 거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충주시의회와 일부 정치권이 영업의 정당성을 문제 삼으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충주시는 수안보·중앙탑·종댕이길·탄금공원 등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지만, 뚜렷한 관광 활성화 성과를 내지 못했다.

반면 ㈜영우자원이 8년 전 폐광산을 관광형 동굴로 재탄생시킨 활옥동굴은 매년 수십만 명이 찾는 대표 관광지로 성장하며 충주 관광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특히 기후 온난화로 인한 폭염이 심화되는 시기(4~9월), 활옥동굴은 천연 냉기와 독특한 지하 체험 환경을 앞세워 먹거리·볼거리·힐링을 아우르는 관광 콘텐츠를 구축,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며 “충주 방문 1순위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일부 시의원들이 행정 절차 문제를 제기하며 “운영 적법성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지속 운영을 지지하는 의원들과의 의견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시는 “늘어나는 관광객 수요에 맞춰 행정적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충주시 안림·목벌동 상인 및 주민들은 지난 28일 공식 성명서를 통해 활옥동굴 폐쇄 논의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주민들은 성명에서 “활옥동굴은 충주를 대표하는 관광자원이자 지역경제의 핵심 기반”이라며 “행정 절차상의 문제로 동굴이 폐쇄될 경우 지역경제 전반이 흔들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폐쇄만이 답은 아니다”며, 행정이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를 함께 고려하는 “상생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성명서에는 △관계기관 협의 및 행정지원 강화 △상생협의체 구성 △충주시·산림청의 고용·경제 영향 재검토 및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마련 등 3대 요구사항이 담겼다.

안림동 인근 식당을 운영하는 한 주민은 “충주 활옥동굴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지역의 역사·생계·미래가 담긴 자산”이라며 “행정과 시민이 협력해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활옥동굴은 동굴체험·전시·문화행사 등 복합 관광형 콘텐츠로 운영돼 온 충주의 대표 관광지로, 최근 행정 절차 이행 과정에서 운영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며 지역사회 내 찬반 논쟁이 거세지고 있다.

김의상 기자 udrd8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