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분야 많은 대전…교육·경제 14% 불과 [공약해부]
공약 상당수 시설 확충에 치우쳐 있어
[충청투데이 조사무엘·권오선·이석준·최광현 기자] C-인사이드팀은 비례대표 및 보궐 당선자(총 14명)를 제외한 나머지 충청권(충북제외) 광역의원 73명의 지역 맞춤형 공약 589개(36.5%)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했다. 공약은 건설(건설·교통·도로·개발·SOC 등), 복지(복지·안전·보건·의료·환경·노동·노인·장애 등), 생활(생활·문화·예술·관광·체육 등), 경제(경제·일자리·기업·취창업·금융·소상공 등), 교육(교육·아동·청소년·학교·급식 등) 5개 분야로 구분한 뒤 지역과 정당, 선수별로 세분화했다.
대전시의원들이 내걸었던 지방선거 당시 공약은 주로 건설·인프라 관련 분야로 쏠려 있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현재 대전시의회 재적의원은 21명(국민의힘 15명, 더불어민주당 2명, 무소속 2명)이다.
이중 보궐선거 당선자 1명과 비례대표 3명을 제외한 17명의 시의원 공약 306개를 분석한 결과, 지역 맞춤형 공약은 108개(35.2%)로 집계됐다.
의원 1인당 평균 6.3개의 지역 맞춤형 공약을 내놓은 셈이다.
가장 큰 특징은 교육·경제 등 생활 기반 의제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미미했으며, 공약의 상당수가 ‘건설’ 분야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공약의 방향 역시 도시 재정비와 주차장 확충, 생활SOC 개선 등 도시 인프라 중심를 중심으로 한 ‘시설 확충’에 치우쳐 있었다.
이는 대전시의 공약 구조가 여전히 가시적 사업 중심의 전통 정치 패턴에 머물러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분야별로 보면 건설 공약이 41개(39.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생활 32개(28.7%), 복지 20개(18.5%), 경제 11개(10.2%), 교육 4개(3.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차이도 뚜렷했다.
원도심(동구·중구·대덕구)에서는 생활 분야 공약이 20개(35%)로 가장 많았고, 건설 19개(33.3%), 복지 9개(15.7%), 경제 7개(12.2%), 교육 2개(3.5%)가 뒤를 이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 균형발전 수요 등 원도심의 특성이 맞물리면서 공약이 생활환경 개선과 기반시설 확충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풀이된다.
신도심(서구·유성구)은 건설 22개(43.1%), 생활 12개(23.5%), 복지 11개(21.5%), 경제 4개(7.8%), 교육 2개(3.9%)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맞춤형 공약 수를 의원 1인당 평균으로 보면 동구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유성구 13개, 서구 4개, 대덕구 3.5개, 중구 3개 순이었다.
대전시의회의 또 다른 특이점은 압도적으로 많은 초선 의원 수다.
비례대표 및 보궐 당선자 4명을 제외한 17명 의원 중 15명이 2022년 시의회에 입성한 초선 의원들이다.
이런 특성은 공약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재선 의원들은 1인당 평균 8개의 지역 맞춤형 공약을 제시했는데, 새내기 의원의 1인당 평균 지역 맞춤형 공약 개수는 6.1개 였다.
다만 전체 의원 중 지역 맞춤형 공약 비중 상위 3명은 모두 초선이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아울러 초선 의원들의 공약에서는 참신한 아이디어도 다수 발견됐다.
급식을 통한 키 성장에 좋은 음식 제공, 체육시간 성장에 좋은 스트레칭, 방과후 활돌 통한 키성장 운동으로 초등생 숨은 1㎝ 찾기 등 기존 인프라 중심 공약과는 결이 다른 생활 밀착형 공약도 포함됐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이석준 기자 lsj@cctoday.co.kr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