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수도권 초고압 송전선로, 청양 관통 계획에 주민·환경단체 반발
309기 철탑 밀집 지역에 개폐소 신설 추진… “수도권 전력 위해 지방만 희생” 반발
[충청투데이 윤양수 기자] 호남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초고압 송전선로가 청양을 관통할 예정이 알려지면서 주민들과 환경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4일 청양송전탑피해주민모임과 청양시민연대, 충남환경운동연합은 청양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양은 전기를 생산하지도 소비하지도 않는데 수도권 전력공급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며 “정부는 송전선로 건설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문제가 된 새만금~신서산 송전선로는 충남 서산·홍성·청양 등 10개 시·군과 전북 군산·익산·김제 등 3개 시·군을 통과한다. 특히 청양은 새만금~신서산 외에도 새만금~청양, 청양~고덕, 군산~북천안 등 총 4개의 345kV 송전선로가 겹쳐 지나가며, 개폐소 신설까지 추진되고 있어 피해가 더욱 우려된다.
청양은 이미 309기의 송전철탑(2021년 기준, 사기업 선로 제외)이 밀집한 지역이다. 청양읍 청수리 일대에는 청양변전소가 가동 중이며 주민들은 전자파와 소음, 지가 하락 등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한 주민은 “아이들이 두통과 불면에 시달린다”며 “더는 버티기 어렵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이번 사업이 호남권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라며 “지방은 생산하고 수도권은 소비하는 구조는 에너지 정의에도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청양시민연대는 “장거리 송전은 환경 훼손과 전력 손실을 불러 재생에너지 확대를 어렵게 한다”며 “전력은 생산지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남환경운동연합은 “전국에 송전선을 깔아 수도권 중심의 전력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지역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체계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단체들은 전력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을 촉구했다.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에는 기업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수도권에는 합리적 부담을 지우자는 것이다.
청양송전탑피해주민모임은 “정부는 새만금~신서산, 새만금~청양, 청양~고덕, 군산~북천안 등 송전선로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생산지역에 전력 수요기업이 이전하도록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단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송전선로 건설 반대 입장을 밝히고 향후 서명운동과 중앙부처 항의 방문 등 추가 행동을 예고했다.
주민들은 “청양은 수도권의 전력 식민지가 아니다”라며 “정부는 청양의 일방적 희생을 멈추고 정의로운 전력체계를 세워야 한다”고 성토했다.
윤양수 기자 root585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