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관계자 4명 입건… 과실 가능성 보여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 발화지점·원인규명 속도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 수사를 진행 중인 경찰이 현장 관계자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
국정자원 직원과 시공·감리 업체 관계자가 모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수사전담팀은 1일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와 관련해 현재까지 조사받은 관계자는 총 12명으로, 이 가운데 국정자원 소속 직원 1명과 시공 업체 관계자 1명, 당시 직접 시공하다 다친 작업자 1명, 감리업체 관계자 1명 등 4명을 입건했다고 밝혔다.
김용일 팀장(대전청 형사과장)은 “현장 관리·감독 과정에서 과실 가능성이 드러나 혐의를 적용했다”며 “수사 결과에 따라 불기소로 이어질 수도 있는 초기 단계”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화재 당시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UPS(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 분리 작업에 참여한 인력이 최소 11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다만 현장 CCTV 확보와 관계자 진술, 국정자원 측 자료 검토가 추가로 필요해 최종 조사 및 입건 인원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경찰은 최초 발화 지점인 5층 전산실 내·외부 CCTV 25대를 확보한 상태다.
이 중 7-1 전산실 내부에 설치된 CCTV 21대를 분석해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 규명을 위한 작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또 국정자원 관계자에 대한 조사가 미진하다는 지적에 대해 김 팀장은 “국정자원 측은 복구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라, 경찰도 복구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수사를 진행해야 하다 보니 현재는 일정을 조율 중인 상황”이라며 “추석 연휴에도 일정이 잡히면 조사는 진행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경찰은 현장에서 수거한 배터리 6개와 공구류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옮겨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며, 아직 잔류 전류가 남아있는 1개 배터리의 안정화 작업을 마친 후 감정 의뢰를 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감식과 진술을 종합해 발화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인지, 작업상 과실인지 등의 여부를 규명할 방침이다.
특히 배터리 전원 차단 여부와 잔류전류 방전 처리 과정 등 안전조치 준수 여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담수사팀 관계자는 “현재까지 4회 합동 감식을 실시했고, 감정이나 분석 절차에 따라 수사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며 “국과수 감정과 CCTV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화 지점과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