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력 떠받친 충남…정부 지원·정책에선 배제?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절반 충남에 위치 1300㎞ 송전선로 반 이상 타지역 향해 RE100 산단 지역에도 충청권 불포함 역차별 상황 놓인 충청 정책 안배 필요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현 정부가 내세운 재생에너지 대전환 정책에서 충청권에 대한 지역 안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충남의 경우 그동안 수도권 전력 공급의 배후지란 오명을 안고 있었던 만큼 에너지 전환 정책에서 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전력통계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충남지역 석탄화력발전소는 총 29기로 전국 발전소 61기 가운데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은 일찍이 도민들이 안고 살아가야 할 문제로 자리잡아왔고 여기에 1300㎞를 훌쩍 넘어서는 송전선로도 삶의 질을 좌우하는 문제로 여겨졌다.
특히 지역 내 고압 송전선로의 지중화 비율은 1%대에 불과, 주민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송전선로를 통해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의 절반 이상은 타 지역으로 향하지만 사실상 주민들의 피해는 외면받고 있었던 셈이다.
송전선로는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올 2월에 공고된 11차 전력수급계획에선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추가 건설계획이 대거 포함됐다.
북당진~신탕정부터 신계룡~신천안, 무주·영동~신세종, 새만금~신서산, 청양~고덕 등 11개 송전선로가 세종과 충북, 충남 등 충청권을 관통하거나 연계할 것으로 보인다.
최종 목적지는 수도권이다. 변전소(총 18개)를 기준으로 보면 막대한 전력 수급이 예상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동용인)부터 평택, 화성, 수도권 3기 신도시 3개소 등 11개 변전소가 수도권에 설치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호남권 재생에너지 등이 상당부분 수도권으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현 정부에서 내놓은 신규 정책에서도 충청권의 소외론이 불거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우선 핵심 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호남권을 꼽고 있는데 ‘지산지소’(지역 내에서 전력 생산·소비)에 방점을 두고 RE100 산단 조성도 예고한 상태다.
앞서 국정과제 발표 당시 지역 공약을 정리한 7대 공약 12대 추진과제에서도 전북 새만금 RE100 국가산단을 비롯해 전남과 광주지역에만 RE100 산단이 이름을 올렸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해당 사업이 RE100 기업 등 산업 분산, 유치를 내포하고 있는 만큼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충남의 경우 친환경에너지 핵심 거점과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폐쇄 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등이 에너지 관련 공약으로 담겼지만 RE100 산단에 비해 파급력이나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진단이다.
그간 지역 내 여건을 극복하고자 탈석탄과 탄소중립, 신에너지정책 등에 선제적으로 나서왔던 충남지역 입장에선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특히 당진시에선 2020년부터 자치단체 최초로 RE100 산단 조성을 자체 추진했지만 사업성과 중앙정부의 미승인 등으로 인해 불발된 사례도 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어느 지역보다 역차별적 상황에 놓였고 선제적으로 새로운 정책을 추진했던 곳이 충남”이라며 “그러한 점에선 상징성까지 있다. 에너지 전환 정책에서 반드시 안배가 필요한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