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뤄지는 정부 지역공약 확정… 충청 현안 관철시킬 ‘공조’ 절실
여당 관심 영호남으로 쏠려 긴장감 충청권 주요 현안 순위 밀릴까 우려 발표 늦어질수록 지역간 경쟁 치열 개별대응 한계… 충청 전체 힘모아야
2025-09-08 조사무엘 기자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발표 이후 구체적인 지역 공약 확정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정치권 안팎에서 볼멘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집권 여당의 관심이 영호남으로 쏠리는 분위기 속에 자칫 충청권 주요 현안이 우선 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다.
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원회가 마련한 17개 시도별 ‘7대 공약·15대 추진과제’는 현재 지방시대위원회로 이관돼 세부 구체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당초 이달 중 발표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관계 부처 협의, 대통령 보고 절차 등 지연으로 최종 발표 시점은 가늠할 수 없는 상태다.
지방시대위 관계자는 "아직 부처와 협의를 진행 중이며, 시기나 세부 계획은 아직 확정할 수 없는 단계"라며 "관계 부처 검토가 끝나는 대로 대통령 보고와 국무회의 절차를 거쳐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종 발표가 늦어질수록 향후 지역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수밖에 없는 만큼 충청권 내에서는 긴장감마저 흐른다.
전국 17개 시도가 수백 개 과제를 제출한 상황에서 한정된 재원을 두고 벌어질 지역별 주도권 다툼은 불가피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당 지도부가 호남과 영남에 잇따라 힘을 싣는 행보를 보이면서 충청권 과제가 후 순위로 밀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실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호남발전특위’를 출범시키며 호남 전략을 본격화했고, 이에 더해 ‘영남발전특위’ 신설까지 추진 중이다.
기후에너지부 입지 문제, 제2 중앙경찰학교 유치 등 다수의 충청 현안이 영호남 지역과 맞부딪혀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이 특정 지역에 힘을 싣는다면 충청은 절대적으로 불리한 구도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또 최종 지역공약으로 이름을 올린 사업이라 하더라도 정상 추진 전까지 안심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세부 설계와 재원 배분 과정에서 영호남 현안에 밀려, 추진과정에서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취지에서다.
결국 개별 대응으로는 영향력에 한계가 있는 만큼 공조 체제를 구축, 과제의 우선순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영호남 지역을 두고 정치권이 전략적으로 움직이는 사이, 충청권은 여전히 개별 건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이번 과정에서 주도권을 잃으면 향후 5년간 주요 현안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 충청권 전체가 힘을 모아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