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장기화에 쓰러지는 충청권 기업들… 법인 파산 최고치
소규모 영세·중소 제조업 경기침체 직격탄 복잡한 하청구조 속 영세기업 위기감 고조
[충청투데이 이석준 기자] 올 들어 충청권 내 법인 파산이 2020년대 들어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들이 장기간 이어진 경기 침체를 버티지 못하고 파산에 직면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5일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7월 대전·청주지밥법원의 법인 파산 인용 건수는 97건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대 들어 동기간 대비 최고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87건)보다 10건이 늘었으며 최저치였던 2021년(40건)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어났다.
파산이 최종적으로 선고된 업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중소 건설사부터 소규모 농업법인, 영세·중소 제조업 등이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장기간 이어진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로 인해 더이상 버티지 못한 소규모 법인들의 파산이 급등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2023년대 들어 내수 부진과 고금리 등 기조가 이어지면서 충청권 내 시공능력평가 상위권 건설사조차 신규 사업에 나서지 않거나 일부 산업군에선 공장 가동 중단, 매각 등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이 기간 각종 경제 지표 역시 크게 악화됐는데, 대전을 기준으론 2020년대 들어 기업경기 실적지수가 단 한차례도 100을 넘지 못하는 등 기업들의 실적 체감이 비관적인 상태가 장기간 유지됐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복잡한 하청 관계로 이어진 영세 기업들의 현실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청의 하청 등 관계로 구성된 3차 기업들은 원청 등 기업이 경영난에 봉착할 경우 가장 먼저 축소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또 이러한 흐름이 심화돼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이 한계에 직면할 경우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파산이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과 관련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관련 내년 본예산을 올해 본예산(15조 2488억원)보다 1조5961억원 증가한 16조8449억원으로 계획한 상태다.
세부적으로는 지역 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예산도 1조3175억원(547억원 증액) 규모로 편성한 상태다.
경제계에서는 무엇보다 현 시점에선 가장 먼저 한계에 봉착한 영세·중소기업의 핀셋 지원 등 지원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석규 대전세종충남경영자총협회 회장은 “하청에 하청으로 이어진 영세기업은 경제 악화에는 가장 민감하지만 목소리는 가장 작을 수 밖에 없다”며 “이들의 목소리를 지자체가 정부와 잘 전달해 핀셋 지원과 같은 효과적 지원책을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석준 기자 lsj@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