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지방소멸위기 극복하려면 양질 일자리로 살고싶은 도시 만들어야
대전 고용기반 불안정·문화인프라 부족 세종 젊은층 정착 못해 임시 거주 도시 충남 청년 유출… 낮은 인재 정착률 문제 충북 경제활동인구 42.7%… 낮은 수준
2025-09-05 권오선 기자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인구 감소가 국가적 위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충청권은 지역 발전을 거듭하며 어느새 영남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권역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향후 더 높은 양적·질적 성장을 이룩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주 여건 확보면에서는 아직까지도 현실적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고용 기반 등 일부 영역에서 약점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인데, 지방소멸위기 대처를 위해서라도 정주 매력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4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충청권의 고용 기반, 문화 인프라, 인재 정착률 등 정주 매력도를 높이는 영역에서 여러 취약 요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대전은 고용 기반 불안정과 문화 인프라 부족이 정주 매력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 7월 기준 대전의 실업률은 2.4%로 전국 평균(2.4%)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고용률은 62.8%로 전국 평균(63.4%)보다 0.6%p 낮았다.
현대제철이 위치한 충남 당진(72.2%), 삼성전자 캠퍼스를 보유한 천안(69.4%)과는 격차가 확연하다.
지역 내 상장기업과 기술기반 중소기업이 다수 존재하지만 이를 고용 확대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부분도 지적된다.
여기에 중소·벤처기업들이 중견기업으로 도약할 기반이 부족해 지역 고용 구조 전반의 취약 요인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문화 인프라 측면에서도 부족함이 확인됐다. 인구 10만 명당 문화기반시설 수는 4.3개로 전국 평균(6.4개)보다 2.1개 적었으며, 시설 수도 62개(17개 시·도 중 11위)에 그쳤다.
반대로 세종은 신도시 특유의 한계가 부각된다. 세종의 생산연령인구(15~64세) 증가율은 2018년 13.8%에서 지난해 0.4%로 줄어들면서 사실상 정체 국면에 들어섰다.
아울러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충남은 지역 경제성장률이 2021년 5.7%에서 2022년 2.8%, 2023년 0.5%로 연속 하락하며 경기 변동에서의 취약점이 나타났다.
이 같은 둔화는 지역 기업의 투자 위축과 고용 불안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졸업대학 소재지와 현 직장 소재지 일치율도 2023년 23.8%(전국 평균 52.2%)로 나타나면서 인재 정착률도 역시 높지 않은 상황이다.
충남에서 배출된 청년 인재들이 수도권과 인근 광역시로 유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지역 내 기업과 연구기관의 인력 수급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로도 연결될 수 있다.
충북도 고학력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대졸 이상 경제활동인구 비중은 42.7%로 전국 평균(51.7%)보다 9.0%p 낮아 17개 시·도 중 13위에 머무르고 있다.
결국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인구 경향은 결국 지역 매력도 저하와 청년층 정주 의지 약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매력도를 높일 수 있는 인프라와 기업 유치 등 지역별로 핵심 문제 우선순위를 설정해 정책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역대학의 한 교수는 "지역별 차이를 고려해 핵심 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권역 차원에서 생활 인프라 확충과 인재 정착 전략을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나아가 다른 권역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가기 위해서는 공격적인 기업 유치 전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