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공항 민간활주로 건설 밀리나

李 주요 대선공약인데 정부예산 제외 제7차 국가공항개발계획 악영향 우려 국정감사 후 예산국회에서 되살려야 충북도, 사업비 신규반영 총력 방침

2025-09-01     김영재 기자
청주국제공항[청주공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지역에서 청주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대선공약인데도 내년 정부예산안에서 빠져 자칫 장기과제로 남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이다.

1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충북도가 반영을 요구한 청주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관련예산 5억원이 빠졌다.


청주공항 민간활주로(3200m) 건설에 1조 5313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는 상황에서 내년 정부예산에 단 몇 푼만이라도 반영될 경우 본격적인 사업진행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번에 정부예산안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어도 국정감사 후 진행될 예산국회 시즌에서 되살릴 기회는 있다.

그럼에도 오는 11월 확정이 예상되는 제7차 국가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년)이 문제다.

대선공약임에도 이번 정부예산안 미반영 결과가 정부의 제7차 국가공항개발 종합계획 확정 과정에 좋지 않은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 종합계획에도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건설사업이 빠지면 이 사업은 기약을 할 수 없는 상황으로 접어들 수 있다.

이 때문에 충북도는 국회의 내년 정부예산안에 대한 심사과정에서 관련 사업비가 신규 반영되도록 행정력을 모은다는 방침이다

청주공항이 보유하고 있는 활주로 2개중 1개는 공군이 전용하고 있고, 나머지 1개를 민항과 군이 함께 사용해 민간부문 활용도 측면에서 극히 낮다.

이런 상황에서도 청주공항은 지난해 전국 14개 지방공항 중 제주, 김포, 김해에 이어 네 번째로 이용객 400만명을 넘어 설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빠르다. 올해는 500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충북도는 전망하고 있다.

여기까지가 한계라는 지적이 많다. 급증하는 수요를 현재 인프라가 더 이상 떠받치는 게 무리라는 분석이 각종 토론회에서 발표된 연구보고서에 담겨 있다.

충북지역사회는 현재 민간활주로 건설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표현할 정도로 전방위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민관정 공동위원회가 출범했고 민간활주로 건설이 포함된 ‘청주공항특별법’도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청주 청원)이 대표발의했다. 특별법은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청주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때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건설을 가장 중요한 지역공약으로 제시했는데 내년 정부예산안에서 관련사업비가 빠진 게 이상하다"면서 "7차 국가공항개발 종합계획에도 포함되지 않으면 지역입장에서 숙원사업이 될 공산이 있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