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무실 이전 구상 맞물려 세종 외교단지 조성 주목
市, S-1생활권·1-1생활권 유보지 입지 검토 총 사업비 5000억원 규모 전액 국비 투입 행정수도 완성 위한 마지막 퍼즐 집중부각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국회 세종의사당, 대통령 집무실 완전 이전안과 맞물려, 장기간 잠복해 있던 세종 국제외교단지 조성안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서울에 집중된 외교 기능을 분산하고, 세종에서도 실질적 외교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구상이 힘을 얻고 있다는 게 인상적이다.
세종 외교단지 조성은 지난 2004년 노무현 정부 시절 ‘신행정수도’ 계획의 한 축으로 이미 공론화됐다.
당시 정부는 각국 대사관에 이전 의사를 타진하는 의향서까지 보내 ‘조성 원가’ 수준의 저렴한 부지 제공 방침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법 위헌 결정으로 , 외교 기능 이전 논의는 중단됐다.
최근들어 외교단지 조성안이 행정수도 완성의 상징적 퍼즐로 재부상하고 있다. 세종시는 치밀하고 발빠른 대응으로, 행정수도 세종완성의 주도권을 잡아가고 있다.
시는 S-1생활권 또는 1-1생활권 유보지를 입지 후보로 삼고, 외교부 주체의 국제외교센터 조성 청사진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제정치·외교·공공행정 관련 연구소와 대학원 설립을 통한 글로벌 정책 싱크탱크 구축도 구상 중이다.
서울대 행정대학원(세종 공동캠퍼스) 등 국내 주요 연구기관과 협력해 미국 케네디스쿨, 워싱턴 브루킹스연구소, 런던정경대 등 해외 교육기관 유치를 목표로 한다.
국제회의·포럼용 컨벤션센터, 외국인 학교와 문화교류 시설, 외국인 주거단지, 어학당·병원 등 생활 인프라 조성안도 주목할만하다.
지역 일각에선 구체적인 외교단지 조성 일정도 거론되고 있다.
내년 타당성 조사, 예비타당성조사를 시작으로 기본계획 수립 (2027~2028) 부지 확보, 개발계획 변경 및 설계 (2029), 외국 공관 및 국제기구 유치(2030) 본격착공 및 외교단지 조성이 핵심이다. 총사업비는 5000억 원규모로, 전액 국비 투입이다.
세종과 서울의 거리가 1시간 정도에 불과해 외교 활동에 큰 불편이 없다는 점도 외교단지 유치의 긍정적 요인으로 지목된다.
시 관계자는 “세종시는 외교관련 인프라가 전무한 실정이다. 외교기능이 제외될 경우 행정수도 완성도는 낮아질 수 밖에 없다”면서 “외교단지 조성은 국회세종의사당 대통령 집무실 건립에 따라 반드시 풀어내야할 과제”라고 말했다.
조상호 전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은 “외교단지는 노무현 대통령이 구상한 신행정수도 특별법과도 궤를 같이 한다. 세종시 외교 기능 강화는 반드시 포함돼야 할 국가 전략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