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국립의대 설립… 정부서 확정해야
충남 국립대학병원 없는 ‘불모지’ 지역 의대 졸업해도 수도권 취업 국정과제서 충남 국립의대 제외 전남 첫번째 과제 포함과 대조적 李 정부 실현 가능성 의문 나와
2025-08-18 권혁조 기자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의 국립의대 신설 염원이 이재명 정부에서도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균형성장특별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지역별 7대 공약 15대 추진과제에 전남·북은 ‘국립의대 설립’을 추진과제에 포함하고 있는 반면 충남은 ‘공공의료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에 불과, 직접적인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17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1.5명(전국 평균 2.1명)에 불과, 17개 시도 중 15위에 머물러 있다.
특히 예산, 태안, 청양, 당진 등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1명도 되지 않고,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국립의대와 국립대학병원이 모두 없는 ‘의료 불모지’와 같은 곳이다.
여기에 지역 의대를 졸업한 학생의 수도권 취업률도 54.9%에 달할 만큼 지역 의료 인재 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도민들은 수도권이나 대전 등으로 원정 진료를 다녀야 하는 탓에 신체적·경제적 어려움이 커지면서 국립의대 설립이 절실한 것이다.
이에 도는 충남의 국립의대 신설 염원과 당위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국립공주대학교 의대 설립’ 100만명 서명 운동에 돌입, 지난 14일 충남도서관에서 100만명 돌파 기념식을 개최했다.
또 지난 4월에는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공약에 반영하기 위해 충남의 지역과제(8대 목표 35개 정책과제 62개 세부사업) 중 하나로 ‘국립의대 충남 신설’을 제안했다.
반면 전남은 ‘공공의대 설립 등 전남도민의 건강과 공공의료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를 최우선 공약으로 놓고, ‘전남 국립의대 설립으로 인력양성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1번째 추진과제로 포함했다.
전북은 금융특화도시 조성과 공공의대 신설 추진을 5번째 공약, 전국 국립의대 설립을 11번째 추진과제에 담았다. 전남·북은 국립의대 설립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충남은 상대적 박탈감과 국립의대 신설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충남 국립의대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어도 지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통해 국립의대 신설을 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공공의료 강화의 뜻을 국립의대 신설도 포함하는 훨씬 큰 개념으로 이해하면 아쉬움보다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며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아 충남 국립의대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