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지표 웃프네, 취업자 증가 속 건설·제조업 찬바람

취업자 수 2개월째 10만 명 대 증가 제조업·건설업 취업 부진 지속 정부 성장전략 TF 통해 기업활력 제고

2025-08-13     최광현 기자

[충청투데이 최광현 기자] 제조업과 건설업의 장기 침체가 고용 증가세를 억누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개월째 10만 명 대 증가를 이어갔지만 주력 산업인 제조업과 건설업은 7만8000명, 9만2000명 각각 감소해 증가세를 억제했기 때문이다.

13일 통계청 등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7만1000명으로 전월 18만3000명보다 1만2000명 줄었다.

제조업은 6월 8만3000명보다 감소폭이 소폭 줄었지만, 중국 등 경쟁국의 추격이 거세지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여천NCC 등 석화산업을 중심으로 중국발 저가 경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업도 상황은 마찬가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8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에서 올해 6월 건설수주액은 22.4조원으로 예년보다 15.9% 감소했다.

건설기성도 지난해 5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공공(-10.7%), 민간(-12.2%) 모두 부진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7년 8월 이후 가장 긴 감소 기간이다.

건설기성의 장기침체는 진행 중인 공사물량 감소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건설업 취업자 수 감소와 건설 관련 물가 둔화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부진은 고용보험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고용노동청이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기준 건설업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75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9000명(2.4%)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000명이나 상승했다.

제조업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도 384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000명(0.1%) 감소했다.

구직급여 현황에서도 제조·건설업의 어려움이 확인됐다.

제조업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만75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00명(6.4%) 증가했다.

건설업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만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00명 줄었지만, 2년 연속 1만5000명대를 웃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제조업과 건설업이 부진을 겪은 반면 서비스업은 고용 증가를 이끌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26만3000명으로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고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3만8000명 늘었다.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의료·요양·돌봄 수요가 늘어나면서 보건·복지 서비스업의 고용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별로는 20대 13만5000명, 40대 5만6000명, 50대 4만9000명 순으로 감소했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5만8000명 줄며 올 6월에 이어 부진이 계속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차 추경 사업을 9월말까지 85% 집행하고 성장전략 TF를 통해 기업활력 제고 및 신산업 육성을 추진하겠다”며 “청년·중고령층 취업 지원도 강화해 고용부진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7월 고용동향 발표 사진. = 연합뉴스 제공.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