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안 개발 마지막 퍼즐 ‘대전교도소 이전’ 국정과제 채택 될까

오랜 기간 교도소 이전 시도했지만 불발 도안 개발사업 1단계 완료·2단계 막바지 지역 부동산업계 조속한 이전 목청 높여

2025-08-13     이석준 기자
대전교도소.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석준 기자] 대전교도소 이전의 국정과제 채택 여부에 지역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도안신도시 완성을 위해선 그간 3단계 개발사업의 걸림돌로 남았던 교도소 이전이 시급한데, 국정과제 채택으로 물꼬를 틀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2일 국정기획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정기획위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개최하고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대전시는 대전교도소 이전을 포함한 지역과제를 국정기획위에 제안한 바 있으며 이번 국정과제 채택 결과에 따라 동력 확보 여부도 엇갈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전교도소 이전은 대전 서남부권의 마지막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의 시작점으로 꼽힌다.

이미 추진된 갑천지구 친수구역과 봉명동 일대 1단계 사업을 비롯해 막바지에 다다른 용계·도안동 일대 2단계 사업를 제외하면 3단계 개발계획이 마지막 퍼즐로 남았다.

당초 5조 2000억원 규모의 3단계 사업은 2030년까지 완료를 목표로 계획됐으며 현 교도소 부지 12만평을 첨단산업클러스터와 주변 지역을 연계한 복합단지로 조성할 예정이었다. 이와 함께 옛 충남방적 부지 22만평 등 원내·대정동의 개발도 병행돼 도안지구 택지개발사업의 마침표를 찍을 예정이었지만 첫 발을 떼지 못했다.

오랜 기간 교도소 이전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번번이 발목을 잡히며 불발됐기 때문이다.

2017년 대전시는 유성구 방동으로 교도소를 옮기기로 했지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넘어서지 못했다. 이후 21대 국회에서 조승래 의원의 대표발의로 예비타당성 조사 제외를 골자로 한 법안 개정이 추진됐지만 지난해 임기 만료로 폐기됐다.

최근에는 조승래 의원 주관으로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대전시, LH가 참여하는 관계기관 협의체가 구성돼 교도소 이전에 대한 논의가 다시 시작됐다.

이를 통해 올해 10월 말까지 구체적인 이전 방안을 마련하겠단 입장인데, 국정과제 채택까지 이뤄진다면 이전 추진에 상당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역 부동산업계에선 도안 3단계 개발사업이 이미 당초 계획됐던 사업 시한이 목전에 다가온 만큼 조속한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은숙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전 서구지회장은 "이미 전 정부에서 약속했던 대전교도소 이전이 흐지부지되며 지역민들의 실망이 매우 컸던 상황이었다"며 "3단계 사업의 시한도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금이 대전교도소 이전을 진행할 마지막 적기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석준 기자 lsj@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