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객 전무 수변공원에 또 10억?… 충주시 혈세낭비 논란

가흥 수변공원 1단계 6억 들여 조성했지만 그늘·주차장·안내시설 미흡해 시민 이용 ‘0’ 전시행정 비난속 2단계 강행… 침수 우려도

2025-08-11     김의상 기자
충주시가 가흥리 친수공간에 6억 원을 들여 조성한 수변생태공원이 관리 부실로 꽃과 잡초가 뒤엉켜 방치된 모습.사진=김의상 기자
충주시 가흥초등학교 뒤편 제방 아래 위치한 수변생태공원의 전경.사진=김의상 기자
충주시 가흥초등학교 뒤편 제방 아래 조성된 1단계 수변생태공원이 풀에 뒤덮여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상태를 쉽게 알수 있다.사진=김의상 기자

[충청투데이 김의상 기자] 충북 충주시가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가흥리 친수공간에 6억 원을 들여 ‘수변생태공원’을 만들었지만, 주차장·안내판 편의시설 조차 없어 이용객이 전무한 채 방치되고 있다.

그럼에도 시는 올해 또다시 10억 원을 들여 2단계 사업을 강행해 ‘혈세낭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곳은 2010~2012년 4대강 살리기 사업 당시 산책로가 조성됐으나, 개장 초기부터 이용객이 거의 없었고 불법 차박·캠핑으로 몸살을 앓았다.

이를 개선한다며 시는 지난해 벌개제근, 잔디광장 조성, 황토콘크리트 포장, 꽃나무 식재 등을 포함한 1단계 사업을 추진했지만, 나무 그늘 하나 없는 벌판에 잔디와 꽃만 놓여 평상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없는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당초 1단계 착수 전부터 공원 진출입로 폭이 2.5~3m 남짓으로 차량 교행이 어려웠고, 공원 인근 주차장도 전혀 없었다.

시민 대다수가 수변생태공원 존재조차 몰랐으며, 진입로 안내판도 없어 접근성은 사실상 ‘제로’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시는 올해 ‘가흥 수변생태공원 2단계 사업’으로 벌개제근·전정, 보행로·산책로 정비, 소광장, 화장실, 맨발길 설치 등을 추진 중이다.

특히 벌개제근과 전정에만 1억 3천만 원을 배정했지만, 나무 뿌리(임목폐기물)를 제거하면 5톤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기물 처리 예산은 설계에 포함되지 않아 시작부터 예산 구조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시 관계자는 “일반나무를 벌목하는 것이 아니라 잡목 위주의 벌개제근과 전정이며, 주차장 부지 보상과 약 100평 미만 임시 주차장 부지 확보를 마쳤다"며 "좁은 진입도로도 6m 확장 공사를 위해 토지 보상 절차를 거쳐 올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반시설 확보를 뒤늦게 덧붙인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시는 총 16억 원이 투입될 사업이 마무리되더라도 매년 홍수기에 물이 넘쳐 기본 시설이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올해도 일부 시설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 그럼에도 설계 단계에서 현장 여건과 시민 의견, 시의회 논의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소수 관계자 중심의 졸속 추진이 반복된다면 ‘생태공원’이라는 이름마저 무색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의상 기자 udrd8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