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포럼] 친환경 정책에 동참하는 전기자동차 이용
오병일 충북과학기술혁신원 경영본부장
필자가 타고 다니는 디젤차량 년식이 15년 넘다 보니, 환경규제를 접하게 됐다. 2015년 이전 생산된 디젤차량은 배출가스 규제 강화 탓에 운행 제한 및 퇴출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4등급 경유차의 운행 제한이 2025년부터 사대문 안에 적용될 예정이며, 2030년에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또 유럽에서는 2035년부터 휘발유, 디젤 차량을 포함한 모든 내연기관차의 신규 판매가 금지될 예정이다.
그래서 친환경 정책에 협조키 위해 전기차를 마련하게 됐다. 전기차는 조용하고 부드러운 주행감이 너무도 좋고, 뛰어난 가속력은 마치 내가 카레이서 같은 착각을 들게 했다. 무엇보다도 저렴한 연료비가 장점이다. 1개월 가량의 전기료가 5만원이 되지 않았다. 예전 차량보다 ⅓수준이다. 거기다 엔진오일을 교환 할 필요가 없고 브레이크 패드 교체가 디젤보다 훨씬 길다. 이러한 친환경적인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다. 배터리 무게로 타이어 마모가 내연차 4~5년(4~5만㎞주행)주기가 3년으로 교체시기가 1~2년 빨라진다. 전기 충전은 저속 완충 때 6~8시간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으나 심야시간 충전을 하고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 보면 충전이 완료되어 있다. 장거리 운행이 아니라면 주에 한번 충전하면 된다. 개인 주택은 충전기를 180만원 정도 들여 설치해야 한다. 아파트의 경우 공용충전기 사용으로 충전 요일, 시간 등을 정해야 하는 불편함은 감수해야 한다.
지난겨울 미국 중북부 지역을 강타한 ‘북극 한파’에 체감온도가 영하 30도 아래로 떨어지면서 테슬라 전기차가 방전되거나 견인되는 사례가 속출했다.
이런 단점으로 요즘 전기차 산업은 현재 캐즘이라는 높은 벽에 직면해 있다. 전기차는 ‘초기 수용자’와 ‘초기 다수’ 사이의 간극에 놓여있다. 환경 의식이 높고 새로운 기술에 관심 많은 초기 수용자들은 이미 전기차를 받아들였지만, 더 광범위한 소비자층인 초기 다수를 설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충청권 전체 차량 등록대수는 317만대다. 이중 전기차는 9만 2000여대로 3%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친환경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전기차는 75만대로 환경부는 2030년까지 420만대 보급을 목표로 충전기 123만기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충청북도와 충북과학기술혁신원에서는 국가정책에 적극 호응키 위해 탄소중립 지원, 배터리 소부장 지역발전 사업에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 모두 지구 온난화를 막고 캐즘 극복은 요즘 지속되는 열대야를 극복할 하나의 방법으로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