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5년, 여전히 빈손… 공공기관 2차 이전 좀 달라질까
10월 혁신도시 연구용역 결과 발표 대전·충남, 혁신 기관 연계 전략 구상 지역 정치권·지자체 간 협력 필수적
2025-08-04 이심건 기자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정부의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 로드맵 공개 시점이 다가오면서 대전·충남 혁신도시의 후속 절차 이행을 기다리고 있는 충청권의 기대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공공기관 이전 계획 수립 등 절차가 지연되면서 혁신도시 지정 이후 5년 가까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혜택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1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오는 10월 국토교통부가 추진 해 온 ‘혁신도시 성과 평가 및 정책 방향’ 연구용역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전국 혁신도시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결국 이번 용역 결과에 대전, 충남 혁신도시의 정상화 여부도 달린 셈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대전·충남을 포함한 충청권에 대해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을 재개해 무늬만 혁신도시가 아니라 실질적 기능을 갖춘 도시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발표한 국정과제나 이 대통령의 국토균형발전 공약인 ‘5극 3특’ 전략에서는 구체적인 이전 대상지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서 지역민의 불안감도 감지된다.
더욱이 최근 불거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서 이 대통령이 "충청권은 행정수도 이전 등으로 균형발전 혜택을 일부 누리고 있다"고 언급한 부분이 지역 내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지역 내에서는 대통령의 공약이 실제로 지켜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대전과 충남은 현재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전략적 접근법으로 공공기관 유치전에 대비하고 있다.
시는 국내 최대 과학기술 클러스터인 대덕특구의 연구개발(R&D) 역량과 교통 인프라를 활용해 과학기술과 교통 분야의 기관 유치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충남도 역시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에너지와 환경 분야의 공공기관 유치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며 차별화 전략을 세우고 있다.
물론 전국적으로 과열된 유치 경쟁 상황은 여전히 큰 난관 중 하나로 풀이된다.
혁신도시가 없는 지역에서는 다양한 산업 연계 전략과 정치권 로비 등을 통해 유치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지역 정치권 안팎에서는 대전과 충남의 지역 특성과 경쟁력을 반영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지역 정치권과 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력도 필수적이라는 목소리도 높다.
현재 대전시와 충남도는 연구용역 결과 발표 즉시 실효성 있는 대응이 가능하도록 사전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중앙정부와 공공기관과의 지속적인 접촉과 협력 강화를 통해 실제 기관 유치를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이다.
한 자치단체 관계자는 "연구용역 발표를 통해 공공기관 2차 이전의 구체적 계획이 올해 말 또는 내년 초에는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지금까지 일정이 여러 차례 연기된 전례가 있어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지역 차원의 철저한 준비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번에는 성과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