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승인 또… 논산경찰서 재건축, 8월로 넘어간다

7월 말 최종 승인 불발… 조직개편 여파로 착공 연기 불가피 총사업비 319억 확정했지만 시간낭비 논산청사, 안전 구멍

2025-08-01     김흥준 기자
▲논산경찰서 재건축 설계공모안

[충청투데이 김흥준 기자] 충남 논산경찰서 청사 재건축 사업이 또 한 번 고비를 넘지 못하고 발이 묶였다.

경찰청이 지난 6월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319억 원 규모의 사업안에 대한 사전 협의를 마무리했지만, 7월 말로 예정됐던 기재부의 최종 승인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기재부 내부 조직개편 등의 사유로 승인 절차가 8월로 넘어가게 되면서, 착공 일정도 불투명해졌다.

이번 사업은 1981년 준공 이후 44년간 사용 중인 현 논산경찰서 청사의 전면 재건축을 골자로 한다. 해당 건물은 지난 2021년 정밀안전진단에서 구조적 결함이 심각한 ‘D등급’을 받았다.

이는 붕괴 위험성이 있는 건물로, 단순 보수가 아닌 전면 철거 및 신축이 권고되는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년째 사업 추진이 지연되며 시민들의 불안감은 날로 커지고 있다.

당초 사업비는 208억 원으로 책정됐으나, 설계 변경과 자재비 상승 등을 반영해 319억 원으로 증액됐다.

경찰청은 이를 바탕으로 지난 6월 기재부와의 사전 절차를 마무리했으며,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협의도 완료한 상태다. 그러나 기재부의 결단이 미뤄지면서, 공사는 또다시 해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논산경찰서는 하루 수백 명의 민원인이 방문하는 지역 공공안전의 핵심 시설이다. 청사 내 근무 중인 경찰관들의 안전은 물론, 주민 민원 처리와 치안 유지의 최일선에 있는 공간이지만, 위험시설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초 “국가 운영의 최우선 가치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라며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논산경찰서 재건축은 이러한 국가철학을 현장에서 구현할 수 있는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도 잇따라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는 미뤄선 안 된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는 경고가 이어지며, 기재부가 정무적 판단보다 ‘국민 생명과 안전’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부처 간 협의는 모두 마무리됐고, 현재로서는 기재부의 최종 승인만 남은 상황”이라며 “하루라도 빨리 착공에 들어가야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논산경찰서 재건축은 단순한 지역 SOC 사업이 아니라, 무너진 국가 기능을 복원하고 안전 기반을 구축하는 중대한 과제다. ‘위험은 예고하지 않는다’는 말처럼, 더 늦기 전에 정부의 실질적 조치가 절실하다.

김흥준 기자 khj5009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