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 본지정 놓칠라…충남대·공주대 불협화음 조율해야
충남대 교수회, 통합 비용·교명 등 우려 공주대도 직원 신분 보장 등 문제 거론 양 대학 통합 의지 있으나 합의 아직 학내 구성원 타협점 마련 필요 목소리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통합 유형에 함께 도전 중인 충남대와 공주대의 통합을 두고 양 대학 내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역에선 양 대학의 반발이 이어질 경우 글로컬대학 본지정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며, 조속한 타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충남대는 23일 산학연교육연구관에서 대학 통합과 글로컬대학 사업을 주제로 제2차 ‘2025 구성원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앞서 충남대는 지난 5월 27일 공주대와 통합 유형으로 교육부 글로컬대학에 예비지정돼, 내달 11일 본지정을 위한 실행계획서 제출을 앞두고 있다.
충남대는 내달 4~6일 공주대와의 통합을 두고 학내 구성원과의 합의를 위한 찬반투표를 예고하고 있다.
다만 양교에선 학교 통합에 대한 반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충남대 교수회는 대토론회에서 양교 통합 비용, 통합학교명, 대학 본부 위치 등에 대한 우려를 내비쳤다.
현재 양 대학은 통합에 대한 의지는 밝혔지만 구체적인 통합 사항은 공개되거나 합의된 것이 없어 통합 이후 더 큰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세은 충남대 교수회장은 “실행계획서 제출 이전부터 갈등이 벌어질 뿐 아니라 더 큰 갈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통합대학이 제대로 운영될지 우려된다”며 “현재 우려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공개돼 투표가 진행되고, 투표에 대한 결과는 겸허히 받아들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학에선 글로컬대학 본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승구 충남대 연구산학부총장은 “지방대학 위기 속 글로컬사업에 선정되면 대학 재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진행될 찬반투표를 통해 학내 구성원들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주대에서도 지난 16일 열린 공개 토론회에서 교명 및 본부 위치에 대한 우려, 직원과 조교의 신분 보장 문제 등이 거론됐다.
이렇다 보니 지역에선 본지정을 위해 학내 구성원들의 타협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지역 관계자는 “대전지역 대학이 마지막 글로컬대학 본지정에 포함되지 못한다면 지역 고등교육은 물론 지역 위축까지 가속화될 것”이라며 “글로컬대학 지정은 학교 문제뿐만 아니라 대전 전체의 미래와도 관련이 있는 만큼 빠른 타협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