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만 없는 글로컬대학…마지막 기회 ‘잡아야 산다’

충남대·한남대·한밭대 예비 지정 대전 본지정 제외…지역위축 우려

2025-07-24     김지현 기자
2025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 명단.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마지막 지정을 앞두고 대전지역 대학이 본지정에 이름을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년 동안 대전에선 글로컬대학 본지정에 든 대학이 없어 중앙정부 차원의 균형발전 기조에 위배될 뿐 아니라 지역 위축 우려까지 나오고 있어서다.

23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전국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상 대학은 내달 11일까지 교육부에 글로컬대학 실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5월 27일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대전에선 충남대(공주대 통합)와 한남대, 한밭대 세 곳이 예비지정돼 실행계획서를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20개 유형의 글로컬대학을 선정했는데 대전지역에선 전무하다.

글로컬대학 본지정 대학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 4곳 △경남 3곳 △부산·강원·전남·전북 2곳 △울산·대구·충남·충북·초광역 1곳이다.

이처럼 대전지역 대학이 글로컬대학 본지정에서 계속 배제되면서 지역 위축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대전 지역 정치권이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지원 전략에서 대전이 후순위로 밀린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지역 대학들이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마지막 글로컬대학 지정에서조차 배제된다면 지역 고등교육 생태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이다.

나아가 중앙정부 차원의 균형발전 대응을 위해서라도 대전지역 대학이 글로컬대학 본지정에 포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금선 대전시의회 교육위원장은 “지금처럼 정부가 대전을 외면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지역 고등교육 기반은 무너지고 청년 유출은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며 “지자체와 교육계, 특히 정치권이 이 문제를 단순한 교육 정책이 아닌 지역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는 학령인구 급감에 대학과 지역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모델을 만드는 정책 사업으로, 올해 10곳을 추가 지정해 최종 지정을 마무리한다.

글로컬대학에 선정되면 5년 동안 최대 1000억원(통합형 최대 1500억원)의 예산과 규제 특례, 지방자치단체 투자 확대 유도 등 행·제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