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백 앞둔 의대생… 충청권 의대 대책 마련 ‘고심’
복귀 선언에 학사 운영 차원 조치 필요 구체적 유급·제적 규모 등은 공개 안돼 교육당국 예의주시 속 대안 제시 계획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충청권 의대들은 교육당국의 대응을 예의 주시하며 대안 마련 채비에 나섰다.
17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충청권 의대생들의 유급·제적 규모나 복귀 의사 표명 현황 등은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다만 충청지역 의대에선 복귀 의대생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지난 5월 기준 충남대는 제적 위기에 놓였던 24학번 전원이 수업에 복귀했지만, 타 학번의 경우 수업 참석률이 저조해 유급이 불가피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대 의대 24학번을 제외한 타 학번 학생들의 수업 참석률은 10% 이하였다.
충북대는 학칙 기준에 따라 제적 또는 유급 대상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충북대의 제적 기준은 미등록·미복학·자퇴·유급 대상자고, 유급은 예과 기준 학년 말 평균 성적 1.6 미만·본과 기준 1과목 이상 F학점이다.
건양대, 을지대, 순천향대는 제적 위기 학생 상당수가 복귀했다고 전했지만, 유급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유급 제적 대상 학생이 학교에 돌아와 2학기부터 수업에 참석하려면 각 대학의 학칙을 수정하는 등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처럼 학사 운영 차원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에서 교육 당국과 대학에서 대책 마련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17일 의대생들의 복귀 소식에 긴급하게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를 진행했다.
교육부에서도 지난 15일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복귀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대학과 함께 복귀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해 의대 교육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고 전한 바 있다.
충청권 의대를 포함한 대부분의 대학은 교육당국의 복귀 대책에 맞춰 대안 마련할 계획이다.
다만 건양대는 예외적으로 대부분의 의대생이 복귀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건양대는 내달 초 예정된 성적 발표에서 시험까지 정상적으로 치를 경우 유급·제적 없이 학기를 인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전지역 대학 관계자는 “현재로선 복귀 학생에 대한 세부 방침은 결정되지 않았다”며 “향후 교육부의 입장에 따라 내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