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장관도 ‘대전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원했다
우주청 특별법 개정안 위원회 심사 중 대전 우주청 인접 필요성 목소리 커져 다수 출연연 인프라 등 효율성 기대감 배경훈 장관 “대전 우주개발 지원 필요”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우주항공 R&D 거점’ 조성을 놓고 대전과 사천이 치열한 유치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새 정부의 첫 과기부 장관이 우주청 연구개발본부의 대전 설치에 힘을 실었다.
새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수장이 연구개발본부의 대전 신설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우주항공 R&D 거점 대전 조성에 대한 기대감도 고조되는 분위기다.
17일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우주청 연구개발본부를 대전에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우주청 특별법 개정안’이 위원회 심사를 진행 중이다.
해당 개정안은 황정아 국회의원(민주당·대전 유성을)이 대표 발의한 것으로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집적된 대전의 우주항공 연구개발 인프라를 바탕으로 R&D 거점 조성을 위한 우주청 산하 연구본부를 대전에 신설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우주산업 클러스터 3축 체계 확정에 따라 우주청이 사천에 개청한 후, 과학기술계에서는 우주청의 위치가 떨어져 있어 업무협의와 유기적인 연구개발에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함께 지난달 불거진 ‘항우연·천문연 사천 이전’ 논란 당시에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주청이 대전과 인접한 세종에 위치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우주청의 사천 개청 이후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연구개발본부는 연구개발 업무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대안 중 하나로도 평가됐다.
항우연과 천문연을 비롯해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우주항공분야 연구에 참여하는 다수의 출연연이 집적돼 있어 연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대전에 연구개발본부를 신설돼야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이에 대해 새 정부 첫 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취임한 배경훈 장관도 지난 14일 진행된 인사청문회 자리에서 “대전이 과학중심도시, 우주개발 관련 중심도시로서 그 역할과 지위를 잘 유지해나가는 지원이 필요하다 생각한다”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의 대전 신설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대전 신설’이 새 정부 과기부 장관의 공감을 얻은 만큼, 향후 정부 정책에 반영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황정아 국회의원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발맞춰 신속하게 우주항공 연구개발 거버넌스를 재구축해야 하고 그 중심지는 우주항공 연구개발 역량이 집중된 대전일 수밖에 없다”며 “우주청의 전향적인 입장을 이끌어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행안부·과기부 등 관계부처 설득을 위한 토론회, 시민 여론 수렴 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