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AI시대 전력 자립도 확충 계획은 잘 준비돼 있나
사설
2025-07-10 충청투데이
내년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을 앞두고 지자체마다 대책마련에 분주하다. 충남처럼 전력생산이 남아도는 지역이면 몰라도 대전 등 전력생산이 미미한 지역은 요금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어서다. 우리나라는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이 몰려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석탄발전소의 50%가 충남에 있다. 여기서 만든 전력은 송전탑을 통해 수도권 등지로 보낸다.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과 소비하는 지역이 분리돼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전력요금은 모든 지역이 같은 단일요금제다. 이런 구조를 바꿔보겠다는 게 차등 전기요금제다.
지자체 간 전력 자립도는 수십배나 차이가 난다. 충청권만 보더라도 충남의 전력 자립도는 157.65%나 된다.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충분히 쓰고도 남는 것이다. 충남에 발전소가 밀집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반면 대전의 전력 자립도는 고작 3.06%, 충북은 10.84%에 불과하다. 대전의 전력 자립도가 낮은 이유는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과 비슷한 시세의 광주시는 99.06%의 전력 자립도를 기록하고 있다. 전력 자립도가 낮으면 필요한 전력을 외부에서 끌어다 써야 한다.
지금까지는 단일 요금제라 별 신경을 쓰지 않았지만 차등 전기요금제가 도입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자급률이 높은 지역은 요금을 낮추고, 자급률이 낮은 지역은 요금을 올리는 쪽으로의 전력요금 개편이 점쳐진다. 이럴 경우 자급률이 낮은 지자체는 전력 요금 압박을 받을 게 분명하다. 또 하나는 언제까지 외부에 전력을 의존하느냐다.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떠오른다. 충남은 일찌감치 이 부문에 눈을 돌려 219만 1494toe를 생산하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북(298만1914toe)에 이어 2위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시대다. 지자체들이 AI산업 육성에 뛰어드는 건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서다. AI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새로운 전력공급을 요구한다. 데이터센터는 전력을 먹는 하마로 불릴 정도로 전력 소모량이 엄청나다. 산업용지, 인력 등 모든 인프라를 갖췄어도 전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