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시급
지역별 차등전기요금제 도입 앞둬 낮은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늘려야
2025-07-09 권오선 기자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내년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을 앞두고 전력 생산력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요금 인상 부담 가중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현재 상대적으로 낮은 충청권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늘려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 대책을 확충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8일 한국에너지공단의 ‘2023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에 따르면 충청권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총 11만 1260toe로 전국 8개 특·광역시 중 7위에 머무르며 재생에너지 9만 2984toe, 신에너지 1만 8277toe로 집계됐다.
세종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세종의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총 10만 7440toe(재생에너지 9만 9233toe, 신에너지 8207toe)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충북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이 101만 3944toe로 나타나 제주와 경남에 이어 9개 자치도 중 7위였다.
지역 전체 공급 비중도 5.94%로 경북(8.24%), 경남(5.39%), 제주(4.04%)와 함께 한 자릿수의 비중을 차지했다.
발전량을 살펴보면, 충청권 내 격차는 더욱 뚜렷했다. 대전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2만 5941MWh에 그쳤으며, 세종은 17만 1556MWh로 특·광역시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두 지역을 제외한 지역 중 가장 낮은 수준인 대구(56만 890MWh)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충북은 326만 1546MWh의 발전량을 기록했지만, 제주(300만 6387MWh)를 겨우 앞선 수준으로 전국 9개 자치도 중 8위에 머물렀다. 반면 충남은 발전량에서도 860만 653MWh를 기록해 전북(1020만 5081MWh)에 이어 전국 2위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가 시행되면 에너지 생산력이 부족한 대전, 세종 등 일부 지역의 전기요금 부담은 가중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학계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통한 신규 전력 도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존 화석연료를 통한 에너지 발전을 축소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장영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는 "대전과 세종의 경우 지역 특성상 건물 옥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등 제한되는 부분이 많다"며 "신재생에너지 부지를 신규 조성하거나, 연료전지 발전을 도입해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발전 방식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건물 공조와 같이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부분을 줄이는 방법도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최 교수는 "건물 공조 시설과 같이 전력을 많이 이용하는 시설의 전력량을 축소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이런 시설에 대해 화석연료로 만들어진 전력 사용을 줄이고, 지열과 같은 방식을 통해 전력 보조 측면으로 접근해 볼 필요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