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일정·품질 다 잡는다… 행복청 종합사업관리 모델 주목
시스템 지속 고도화 계획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세종 행복도시가 중앙행정기능을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들어서는 S-1생활권은 향후 대한민국의 ‘국가상징구역’으로서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미래비전, 행복도시 가치를 대표하게 된다.
행복도시건설청은 마스터플랜 수립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총 210만㎡ 규모 부지에 국가의 행정·입법 기능을 집약시킨 이 구역은 기능적 공간을 넘어 국민 통합과 소통의 상징 공간으로 조성된다.
행복청은 2007년 출범 이래 정부청사 이전, 주택공급, 교통망 구축, 자족기능 확충 등 대형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도시개발 역량을 입증해 왔다.
성과의 중심에는 ‘종합사업관리(PM, Project Management)’ 시스템이 있다.
기존 도시개발은 사업 간 연계 부족, 일정·예산 상 비효율 등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행복청은 기획부터 설계, 시공, 운영까지 전 과정을 전략적으로 통합 관리해 도시 전체의 완성도와 효율성을 높였다.
행복청은 종합사업관리의 디지털화를 위해 자체 전산시스템 ‘MPAS’(행복도시 사업통합관리시스템)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MPAS는 공정률, 예산 집행, 추진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간섭요소나 지연요인을 사전에 식별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사업 간 연계를 통해 보다 정밀한 도시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도구다.
또 매월 열리는 ‘종합사업관리 조정회의’는 실무진부터 간부까지 참여해 각종 민원, 공사 간 충돌, 재정 집행, 위험 요소 등을 사전에 조율한다. 올해 5월 말 기준, 총 174차례의 회의를 통해 553건의 현안을 처리하는 등 실질적 문제 해결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행복도시는 종합사업관리 시스템 덕분에 착공 5년 반 만에 중앙행정기관 이전과 정부청사 건립을 완료했다. 프랑스 12년, 스웨덴 19년 등 외국의 정부 이전과 비교하면 괄목할만한 성과다. 이와 함께 2023년 인구 30만 돌파, 삶의 질 전국 1위 달성 등 도시의 질적 성장도 이뤄냈다.
행복청은 종합사업관리 시스템을 지속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형렬 행복청장은 “행복도시는 지금 대한민국의 미래와 국가 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행정수도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종합사업관리를 통해 모든 역량을 효율적으로 발휘해 행복도시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