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력 생산지-소비지 일치로 송전선로 최소화를

사설

2025-06-24     충청투데이
고압 송전탑[연합뉴스 자료사진]

지역 환경단체들이 전북 새만금과 충남 서산을 잇는 송전선로 건설 계획의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충남환경운동연합은 24일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신서산’ 송전선로 건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장기송변전설비계획을 보면 호남 재생에너지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새만금-신서산‘, ‘청양-고덕’ 등 345kV 규모의 송전선로가 계획돼 있다. 충남 내륙을 직접 관통하지는 않지만 서해안으로 500kV급 초고압 직류 송전선로 건설이 예정돼 여러모로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한국전력은 노선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최종 노선을 확정하기 전에 주민 의견 수렴 등을 했다고 한다. 지역이기주의를 떠나 송전선로가 들어서는 건 달갑지 않을 터다. 가뜩이나 충남은 송전선로가 많이 깔려있어 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충남에 설치된 송전선로는 4168개로 총연장 1395km나 된다. 충남 서해안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집중된 탓이다.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8기 가운데 29기가 충남 서해안을 중심으로 몰려 있다. 이곳에서 생산된 전기는 수도권 등지로 보낸다.


전기 생산지와 소비지를 일치시켜 송전선로 건설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환경운동연합의 지적에 동의한다. 전기를 공급하려면 송전선로 건설이 불가피하나 미관저해, 환경훼손 등이 따른다. 생산은 지방에서 소비는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전력공급 체계를 바꿔야 한다.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쓰도록 하자는 거다. 수도권 기업들이 발전소가 있는 지역으로 이전하면 문제는 해결 된다. 신규기업의 입지는 두말할 필요도 없다.

오히려 수도권 규제를 푸는 바람에 수도권에 에너지 수요가 늘어났고, 지방이 부담을 하는 모양새가 되고 말았다. 이제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고민할 때가 됐다. 인구감소로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이 수두룩하다.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에 기업이 입주하면 활력이 돌 것이다. 언제까지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를 분리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