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안 되는데 인건비만 올라… 29일 최저임금 결정에 ‘촉각’

매출 제자리… 자영업자 ‘혼자 운영’ 확산 키오스크 사용·영업 규모 축소 경우도 전문가 “차등적 접근·인건비 보조 필요”

2025-06-16     조정민 기자
키오스크.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 대전 서구에서 작은규모로 김밥집을 운영 중인 자영업자 A씨는 1년 전부터 혼자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과거 오전·오후 아르바이트 직원을 고용했지만 매출은 제자리인데다 인건비만 계속 오르자 상대적으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결국 현재는 혼자 조리부터 계산, 포장까지 도맡게 됐다. A씨는 "요즘은 사람을 쓰는 게 오히려 손해 보는 구조"라며 한숨을 지었다.

고용 없이 점포를 운영하는 ‘나홀로 사장’ 자영업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 기한(오는 29일)도 다가오면서 인건비 부담을 둘러싼 자영업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충청권 고용동향’에 따르면 대전지역 자영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만 3000명 증가한 반면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크게 줄었다.


반면 무급가족종사자가 꾸준히 증가했는데, 이는 실제 혼자 일하거나 가족의 손을 빌리는 운영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장 자영업자들은 이 같은 고용 회피 현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 ‘고정화된 인건비 부담 구조’를 꼽는다.

여기에 최근 노동계는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올해보다 14.7% 인상된 1만 1500원을 제시한 상태다.

이는 월 기준 240만원이 넘는 금액에 주휴수당 등을 포함하면 실제 시간당 인건비는 체감적으로 더 높아지게 되는 구조다.

지역 자영업자 전반에서는 ‘정부가 최저임금을 더 올리면 정말 가족 아니면 사람 못 쓴다’, ‘장사도 잘 안되는데 인건비만 오르면 문을 닫는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잖게 나오고 있다.

지역 자영업자 A씨는 "몸이 고되고 지치더라도 직원 한 명 쓰는 것보단 부담이 덜하다"며 "장사가 잘 되면 최저임금이 올라가도 사람을 쓰겠는데 매출은 그대로인 상황에 인건비만 오르니 답답할 따름이다"라고 토로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점포 운영 방식 자체도 함께 바뀌는 분위기.

주문·결제를 키오스크로 대체하거나 테이블 수를 줄여 혼자 감당 가능한 범위로 영업 규모를 축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인건비를 아끼기 위한 노력 끝에 ‘규모의 축소’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일부는 주 15시간 미만 단기 아르바이트를 쓰는 방식으로 주휴수당을 피하거나 배달앱 주문만 받는 무인 점포 형태로 전환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고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우회 전략을 쓰는 셈이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고용의 질 저하와 서비스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경제계 한 전문가는 "최저임금은 취지 자체로는 바람직하지만 지역 소상공인 매출이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 기계적으로 인상만 될 경우 고용 회피나 편법 운영이 고착화될 위험이 크다"며 "영세 사업장 현실을 고려한 차등적 접근이나 인건비 보조 등의 제도적 정비가 함께 병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