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차기 대통령 앞에 놓인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과제
사설
2025-05-22 충청투데이
대전, 세종, 충남·북 유권자들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차기 대통령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역특화산업단지 조성을 꼽았다. 충청투데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다. 지역특화산업단지 조성(22%) 다음으로 중앙행정기관 지방이전(21%), 지역의료기관 확충(19%), 광역교통망 확대(10%)를 지목했다. 지방거점대학 육성(6%)과 대형관광문화체육시설 조성(6%)에도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다.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다. 그 중에서도 충청지역 유권자들이 지역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첫 순위로 택한 이유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다. 수도권 일극주의로 수도권은 팽창하는 반면 지방은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인구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이 지방에 수두룩하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인구 소멸 위험지역이 118곳에 이른다는 연구가 나와 있다. 충남 15개 시군 중 12곳이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될 정도다. 지역특화산업단지는 지역경제의 성장 동력 발판이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충청지역에 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약속했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이전은 해묵은 과제다. 문재인 정부 때 2차 공공기관이전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했으나 전혀 진척되지 않았다. 윤석열 정부 또한 희망고문을 하다 현 상황에 이르렀다. 그 바람에 대전, 충남 등 지자체들은 공광기관이 들어설 혁신도시를 비워 놓은 채 정부의 결정만 지켜보고 있다. 2차 공공기관이전 이야말로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이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즉각 시행에 옮겨야 한다. 지역 의료서비스가 향상되려면 지역의료기관 확충은 필수다. 충남도가 국립의대 설립에 적극 나선 까닭이다.
차기 대통령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먼저 해야 할 일은 대체로 지역 현안과 겹친다. 충청권 지자체들은 숙원사업을 묶어 주요 정당의 후보들에게 전달했다. 관건은 어떻게 관철해 내느냐다. 차기 대통령이 반드시 이행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