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생 최우선 과제 물가안정, 대선후보 준비 돼 있나

사설

2025-05-21     충청투데이
한 마트 장바구니 카트가 놓여있다. 사진=연합뉴스.

조기대선 날짜가 다가오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꼽았다. 또 민생경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53.5%)라고 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과제를 조사한 결과를 20일 내놨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인식했다. 다음 순위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와 큰 격차를 보였다.

먹고사는 문제보다 더 중요한 건 없다는 사실이 이번 조사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대선주자들이 뼈아프게 받아들여야 할 대목이다. 올 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는 1%대를 유지했다. 그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2020년부터 올해 4월까지 16.4%나 올랐다. 고물가 추세의 누적이 국민들의 뇌리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올해 들어서도 공공요금을 비롯해 공산품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들이 크게 상승했다. 월급 말고는 다 올랐다는 얘기가 나온다.


고정된 월급으로 생활하는 서민들은 물가인상이 직접 피부에 와 닿는다. 1만원을 들고 마트에 가면 담을게 없다고 말한다. 외식물가도 부담이다. 4인 가족이 밥 한 끼를 먹으려면 5만원은 족히 든다. 음식점도 가격을 올리지 않을 수 없다. 올해 최저 시급은 1만30원이다. 임대료에 재료비, 인건비를 제하면 남는 게 없다고 한다. 자영업자들이 줄 폐업하는 이유다. 실제 지난해 4월 대비 6000명이나 줄었다. 더불어 정부의 폐업 지원금 신청 건수가 연간 목표치인 3만 건에 도달했다.

물가가 올라도 가계소득이 창출되면 별 부담이 되지 않는다. 지금은 경기둔화로 가계소득 창출이 힘든 상황이다. 그렇다면 서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부터 물가안정에 진력해야 한다. 유통구조 개선, 농산물 수급 조절 등을 통해서다. 대선 주자들이 연일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물가관련 공약은 잘 보이지 않는다. 국민들의 생각과 동떨어진 인식을 하고 있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