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충남 행정통합 현안 추진 동력 얻으려면
사설
2025-05-19 충청투데이
조기 대선으로 답보상태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추진동력을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대전-충남 행정통합과 관련 공청회 개최와 특별법안 제출 등 속도감 있는 행정절차를 주문하면서다. 김 지사는 19일 도정 주요현안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행정통합의 공감대 형성과 절차 이행을 위해 7월까지 공청회를 마무리하고, 8월에는 특별법안을 국회에 제출해야 한다"며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차지 정부의 의지가 큰 영향을 미친다. 주요 대선후보들은 대전-충남 행정통합에 긍정적이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지난 16일 대전과 충남을 통합하는 행정체계 개편으로 충청권 메가시티를 조성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얼마 전 자신의 SNS를 통해 대전, 세종, 충남·북이 하나 되어 통합경제권을 만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충청권 메가시티는 우선순위에 둬야 한다"고 대전-충남 행정통합에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로 미뤄 누가 대통령이 되던 대전-충남 행정통합에 나설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차기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핵심안건으로 선정돼 강력히 추진하도록 미리 대비해야 한다. 첫 관문은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의 국회 통과다. 선거가 끝나고 두 달 후면 8월 정기국회가 열린다. 여기서 대표안건으로 다뤄질 수 있게끔 만전을 기해야 한다. 가장 바라는 시나리오는 차기정부 초에 국회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을 통과 시키는 거다. 그러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대전-충남 통합시장 선출과 동시에 통합시 출범이 가능하다.
관건은 시도민의 공감대 여부다. 대전지역 언론사의 최근 여론조사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대전시민과 충남도민 54.7%가 행정통합에 찬성 의사를 나타낸 반면 반대의사는 29.5%였다. 행정통합에 대해 들어 본적 있냐는 질문에 ‘처음 들어 본다’는 답변이 44.1%로 높게 나왔다.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오는 7월까지 열기로 한 공청회 때 시도민들이 어떤 목소리를 낼지 관심이 쏠린다.